728x90
반응형

중국 지린성 지안현 여산 남쪽 기슭에 있는 고구려의 기단식 돌무지무덤.

비가 서 있는 곳으로부터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있는 태왕릉(太王陵)을 광개토왕의 능으로 인정하는 견해가 유력하다. 왜냐하면 부근에서 ‘태왕릉이 산악과 같이 안정되고 굳건하기를 원한다(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라는 명문이 새겨진 벽돌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분구의 대부분이 무너져내린 기단부와 그 위층의 방단부 일부만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1990년 이래 중국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어 복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결과는 외부에 알려지지 않고 있다. 무덤 기단의 한 변은 약 63m이며, 너비 약 1.75m, 높이 6m가량의  대형 석재 5개가 받치고 있다. 기단 위의 각 방단 내부는 막돌과 장돌로 채워졌다. 분구 정상부 가까이에 설치된 매장부는 굴식 돌방의형태를 취하고 있다.돌방의 방향은 서향이며 널길은 널방 서벽 한가운데에서 시작된다. 널방의 천장부는 3단의 평행굄으로 짜여졌으며, 천장은 지름 4.55m, 두께 0.8m의 대형 화강암 판석으로 덮여 있다. 널방의 동서길이는 2.82m, 남북너비는 3.16m이며 지면에서 분구 정상부까지의 높이는 16m 정도이다. 분구 정상부에서 명문전과 와당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원래의 분구 위에 작은 사당이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명문전 중에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원태왕릉안여산고여악)'이라는 돋을 새김된 문장이 있어 '태왕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무덤 주위에는 자갈이 깔리고 그 바깥으로는 무덤구역을 알리는 흙담이 둘러져 있다. 무덤의 남방 180m 지점에서 기와·전돌과 함께 건물의 초석이 발견되어 무덤의 피장자를 위해 제사지내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무덤의 동북 500m 거리에는 유명한 광개토왕릉비가 있다.  명문전의 내용, 무덤의 규모, 근처의 건물터, 광개토왕릉비 등을 근거로 광개토왕의 능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무너진 기단 위로 누군가 돌을 얹어 놓은 것이 보인다.

 ▼무덤의 주인공은 원하든 안하든 후세에 자기 무덤이 만천하에 공개될 것을 알았을가? (자세히 보니 석관이 보인다.) 백골은 진토 되었는데, 넋이라도 있을런지...

▼ 무덤에서 보이는 국내성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