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 학 명 : Smilax chine L.
다른이름 : 망개나무, 맹감나무, 명감나무, 종가시덩굴, 참열매덩굴, 매발톱가시(황해도)

약재이름 : 발계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굵고 딱딱한 뿌리줄기꾸불꾸불 옆으로

길게 벋어간다. 줄기는 마디마다 굽으면서 2m 내외로 자라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원형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두껍고 윤기가 난다. 잎자루는 짧고 턱잎이 칼집 모양으로 유착하며 끝이 덩굴손이다.  꽃은 단성화로 황록색이며

5월에 산형꽃차례 []를 이룬다. 꽃줄기는 길이 15∼30mm이고 작은꽃줄기는 길이 1 cm 정도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며

뒤로 말리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3심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cm 정도이고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열매는 식용하며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뿌리를 이뇨 ·해독 ·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 등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가 곧고 가지가 많으며 잎이 작은 것을 좀청미래(var. microphylla)라고 한다.

산이나 들에 흔히 자라는 덩굴성 떨기 나무로 가을철에 빨갛게 익은 열매가 보기에 좋아 꽃꽃이 재료로 인기를 얻고도 있는데

잎은 넓은 달걀꼴로 윤이 반짝반짝 빛나고 줄기에는 가시와 덩굴손이 있다.꽃은 붉은 빛을 띤 녹색으로 크며 딱딱하고 봄이나

가을에 굵은 뿌리를 케내어 약으로 쓰는데 내한성,내음성,내건성,내조성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산야에는 어디든지

잘 자라는 식물이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열매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약명은 토복령으로항암작용이 뛰어나며 수은 중독을

푸는 효능이 있어 갖가지 암치료에 널리 쓰인다. 위암,식도암, 직장암,유선암, 자궁암 등에 두루 효험이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의 약효에 대해서 (동의학 사전)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맛은 슴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간경에 작용한다.

뿌리를 잘게 썰어 말린것 20~30g 정도를 물1되를 붓고 그물이 반으로 줄어들때 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그물을 하루 세번정도 마신다.

옛날 중국의 어떤 사람이 부인 몰래 바람을 피우다가 매독에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아내는 남편이 미워서 산에 업어다

버리고 돌아왔다. 남편은 허기가 져서 산을 헤매다 청미래덩굴을 발견하고 그 뿌리를 부지런히 캐 먹었더니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매독이 다 나아 버렸다. 그는 건강한 몸이 되어 마을로 내려왔고 다시는 아내 몰래 못된 짓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래서 그 뒤부터 사람을 산에서 되돌아오게 했다고 해서 이 나무 이름을 산귀래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상당히 굵고 크다. 옛날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흉년이 들었을 때  구황식품로 흔히 먹었다.

녹말이 많이 들어 있어서 충분히 식량 대용으로 쓸 만하다.

신선이 남겨 놓은 음식이라 해서 선유랑(仙遺糧)이라고 부르고 넉넉한 요깃거리가 된다 하여 ‘우여량’이라는 이름도 있다.

뿌리를 캐서 잘게 썰어 2∼3일 동안 물에 담가 쓴맛을 뺀 다음 쌀이나 다른 곡식에 섞어서 밥을 지어 먹는다.

청미래덩굴 뿌리를 오랫동안 먹으면 변비가 생겨 고생하는 수 있는데 쌀뜨물과 같이 끓이면 그런 일이 없다고 한다.

옛날에 나라가 망하여 산으로 도망친 선비들이 청미래덩굴 뿌리를 양식으로 삼는 일이 흔했다 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성병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 <본초강목>에 요즈음 여자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 매독 같은 성병이 많이

유행하고 있다. 약을 써서 고친 뒤에 자주 재발하곤 하므로 오래 고생을 하게 되는데 이럴 때 청미래덩굴 뿌리를 쓰면

효과가 좋다고 적혔다. 매독뿐 아니라 임질, 태독, 악창 등에 두루 효과가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의 약효에 대해서 <동의학사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은 슴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독을 푼다."
뼈마디가 아픈 데, 매독, 연주창, 헌데, 악창, 수은 중독 등에 쓴다. 하루 10∼15그램을 달인 약, 약술,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청미래덩굴은 온갖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수은 중독을 푸는 데 특히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기나 신경통에 뿌리를

잘게 썰어 약한 불로 달여서 밥 먹기 전에 마시고 땀을 흠뻑 내면 거뜬하게 낫는다고 한다.

청미래덩굴은 땀을 잘 나게 하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백 가지 독을 푼다. 매독이나 종기, 악창, 만성피부염, 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 풍습성관절염, 신장염, 방광염, 소화가 잘되지 않고 설사가 날 때,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에 하루 10∼30그램을 달여 먹는다.
잘게 썰어 말린 것 15∼30그램을 물 1되쯤을 붓고 그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3번 밥 먹기 30분전에 마시고

뜨거운 방에 홑이불을 덮고 누워 땀을 흠뻑 낸다. 그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온갖 독이 몸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항암작용이 높아 갖가지 암에도 효력이 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초향(排草香)  (0) 2017.08.15
고마리  (0) 2017.08.15
꽃 이야기 - 수수꽃다리  (0) 2017.08.14
연 이야기 (펌)  (0) 2017.08.14
보리수 (菩提樹, Der Lindenbaum)  (0) 2017.08.14
728x90
반응형

수수꽃다리

 

원뿔 모양의 꽃차례에 달리는 꽃의 모양이 수수를 닮아 수수꽃 달리는 나무란 뜻의 '수수꽃다리' 라고 한다.

우리나라 황해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등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는 특산식물로 지금은 전국적으로 퍼져 잘 자란다.

우리나라 수수꽃다리를 유럽에서 가져다가 개량한 것을 20세기 초  역수입하여 라일락이라 하여 전국에서 조경용으로 심어 가꾸었다.

때문에 우리나라 특산의 수수꽃다리와 개량된 라일락을 정확하게 구분하기는 매우 힘들다. 라일락은 양수수꽃다리라고도 불리며

뿌리 부근에서 맹아지가 많고, 꽃도 좀더 촘촘히 피는 것으로 구분할 뿐이다.

 

4월 봄 밤이 되면 풍겨오는 수수꽃다리의 매혹적인 향기는 꽃말처럼 사랑에 설레이게 한다.

아이들과 '사랑점'을 미끼로 수수꽃다리의 아주 쓴 잎으로 장난을 하면, 영원히첫사랑의 맛을 잊지 못한다고 한다.

꽃 향기가 좋을 뿐 아니라 추위에 강하고 병충해, 공해 등에도 강해서 조경용으로 심는다. 한의학에서 '정향'은 수수꽃다리를 포함한

유사식물들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부른 이름으로, 비장과 위를 따뜻하게 하고 성기능 강화와 종기, 술독, 풍독을 없애는데 이용했다.

 

유사식물로 수수꽃다리와 가까운 혈족관계의 정향나무가 있는데 경상도와 전라도 이북에서 자란다.

개회나무(S. reticulata var. mandshurica)는 잎지는 중간 키나무로 원추꽃차레의 꽃이 전년지의 꼭대기에 핀다.

꽃개회나무(S. wolfi)는 6∼7월에 원추꽃차례의 꽃이 새가지에 달리고 잎 뒷면에 털이 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마리  (0) 2017.08.15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0) 2017.08.14
연 이야기 (펌)  (0) 2017.08.14
보리수 (菩提樹, Der Lindenbaum)  (0) 2017.08.14
접시꽃  (0) 2017.08.14
728x90
반응형

 

연 이야기 (펌)

연씨는 수명이 길어서 3,000년이 지나도 싹을 틔운다고 한다. 이상적인 쉼터의 못에 피어있는

연꽃이야말로 괴로움의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이상향을 상징하는 꽃이라 할 수 있다.

인도 신화를 노래한 대서사시 『마하 바라타』에 연꽃이 나온다.
비쉬누신이 천(千)의 머리가 달린 용왕 아난다의 몸 위에 누워 세계에 관해 명상을
하고 있었다. 비쉬누가 신비로운 명상에서 깨어나자 배꼽에서 황금색 연꽃이 피어나고
그 꽃에 브라만이 앉아 있었다. 이 브라만이 만물을 품은 세계를 창조했다는 내용이다.

이처럼 인도에서는 오랜 옛적부터 연꽃을 신성하게 여겼으며, 불교에서는 진흙 수렁에서

피어나되 진흙에 물들지 않고 청정하게 피는 연꽃의 생태를, 마치 오탁악세(五濁惡世)에 

살지만 번뇌에서 해탈하여 청정한 열반(涅槃)의 경지를 지향하고자 하는 불교의 이상에 비유하여

일찍이 연꽃을 불교의 상징으로 삼았다. 그래서 어려운 교리를 연꽃에 비유해서 설명하기도 하고

또는 수행의 어려움을 일깨우기도 했다. 연꽃이 물에서 나서 물에서  자라지만 물 위에 나와 물에

집착하지 않는 것과 같이, 여래는 세간에서 나서 세간에  살지만 세간을 벗어나 세간에 집착하지 않는다.

연꽃을 세간을 초월한 등정각(等正覺)에 비유했다. 그래서 불교의 이상향인 청정한 불국토(佛國土),

예컨대 서쪽에 있다는 서방정토, 곧 극락을 표현할 때, 시원한 못의 청량함 그리고 그 물에 피어난

아름다운 연꽃을 비유해서 표현했다. 부처의 가르침을 흰 연꽃이라고 표현한 것이다.

중국의 지의 천태대사는 연꽃의 3가지 모습을 비유해서 법화경의 교리를해설했다.

이를 법화삼유(法華三喩)라고 한다.

 

연꽃의 3가지 모습이란
①연꽃봉우리가 맺힌 모습
②연꽃이 피어난 모습
③ 꽃이 지고 열매를 맺은 모습을 말한다.

 

천태대사는 법화경의 전반부에서는
① 여래는 원래 아득한 옛적에 이미 깨달았지만, 이 세상에 오시어 보리수 아래에서

깨닫는 모습을 보인 것은 바로 연꽃이 봉우리를 맺은 것과 같고

 

② 여래수량 품에서 ‘나는 이미 아득한 옛적에 등정각을 이루었으나 중생을 깨우치게 하기 위해

보리수 아래에서 성불한 것은 화불(化佛)이라' 고 비로소 설하신 것은 마치 연꽃이 활짝핀 것과 같다.


③ 이제 삼승(迹門)을 폐하고 일승(本門)을 세우니 화신(化身)을 스러지고 본신(本身)만 남는다고

한 것은 연꽃이 열매를 맺은 것과 같다고 하였다.불세계는 곧 연화장세계이므로 모든 불보살은

앉거나 서있거나 항상 연꽃으로 자리를 삼는다. 그래서 모든 불상은 연꽃자리(蓮華座) 위에 모신다

*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연꽃과(科)의 다년생(多年生) 수초(水草)로
학명은 Nelumbo nucifera다. 뿌리는 마디가 있는 둥근 막대모양이고 옆으로 길게 뻗는다.
잎줄기가 부채살처럼 퍼져 있는 연녹색의 크고 둥근 잎(40cm정도)이 뿌리 줄기에서 나와
물 위에서 자라는데 물에 젖질 않는다. 분홍색 또는 흰색 꽃이 7-8월 사이에 피는데
한 꽃대에 한 송이만 핀다. 꽃 속에 원추를 거꾸로 세운 모양의 녹색 연밥(꽃받기;花托)이
있고 윗면에 구멍이 있으며 그 안에 2cm 정도의 타원형 씨가 있으며 10월경에 익는다.

*연은 식용 약용으로 널리 이용하며『동의보감』에 보면 연실 곧 연의 씨앗은 독이 없고 기력을

북돋아 주며 오장을 보해주고 갈증 설사를 멈추게 한다. 우즙(연근)를 짜낸 즙은 토혈(吐血)을

멎게 하고 어혈(瘀血)을 없앤다고 했다. 이외에도 곽란 허갈을 낫게하며 설사를 멎게하고

이 우즙을 꿀과 같이 먹으면 복장(腹臟)이 살찌며 설사를 멎게 하고 주독(酒毒)을 풀어준다고 했다.

하엽(荷葉) 곧 연잎은 갈증을 해소하고 버섯독을 해독한다고 했다.

연꽃술은 정기(精氣)를 북돋아준다고 했다. 연의(蓮薏) 곧 연밥의 푸른 색이 나는 속살은 곽란을

낫게 하고 심열(心熱)과 혈질(血疾;피와 관련된 병)로 생기는 갈증을 없애준다고 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0) 2017.08.14
꽃 이야기 - 수수꽃다리  (0) 2017.08.14
보리수 (菩提樹, Der Lindenbaum)  (0) 2017.08.14
접시꽃  (0) 2017.08.14
미국쑥부쟁이 (美國-, frost aster)  (0) 2017.08.14
728x90
반응형

 

보리수 (菩提樹, Der Lindenbaum )

산비탈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3∼4m이고 가지는 은백색 또는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너비 l∼2.5cm의 긴 타원형의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은백색의 비늘털[]로 덮이지만 앞면의 것은 떨어진다. 꽃은 5∼6월에 피고

처음에는 흰색이다가 연한 노란색으로 변하며 l∼7개가 산형()꽃차례잎겨드랑이에 달린다.

 화관은 통형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에 비늘털이 있다.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붉게 익으며 잼 ·파이의 원료로 이용하고 생식도 한다.

또한 자양 ·진해 ·지혈 등에 사용한다.  한국(평남 이남) ·일본에 분포한다.

 

잎 표면과 암술대의 털이 떨어지고  표면에 비늘털이 없는 것을 민보리수(var. parvifolia),

잎이 거꾸로 선 바소꼴이고 어릴 때 잎 표면에 성모()가 있는 것을 왕보리수(var. coreana),

열매가 길이 7∼8mm, 지름 5mm인 것을 긴보리수(var. longicarpa)라고 한다.

 

 자료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보리수 아래서 얻은 깨달음

    석가는 생후 7일만에 어머니와 사별하고, 이후는 이모의 손에서 자랐다.
    16세에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며 왕자로서 행복하고 부유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29세 때 모든 지위를 버리고 괴로움의 본질을 추구하고자 해탈을 찾아 출가했다.
    그는 보리수 아래서 6년간에 걸친 고행끝에 마침내 깨달음을 얻는다.

     

    이 나무는 인도보리수, 학명은 ' Ficus religiosa'다. 인도를 비롯한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며

    뽕나무 무리의 무화과 종류에 포함되는 나무다.

    높이 30미터에 지름이 2미터까지 자라는 늘푸른잎나무다. 가지를 넓게 뻗어서

    한 그루가 작은 숲은 형성할 정도로 무성하게 자란다.

    이 나무를 불교에서는 범어로 마음을 깨우쳐준다는 뜻의 'Bodhidruama'라고 하며

     'Pippala' 혹은 'Bo'라고도 불렀다.
    중국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한자로 번역할 때, 그대로 음역해 보리수라는 이름이 생겼다.


    그러나 부처님의 인도보리수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선 추워서 자랄 수 없다.
    자연히 불교신자들에게는 대용나무가 필요했다. 스님들이 선택한 나무는 피나무였다.
    그리고 보리수란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 왜 많은 나무 중에 피나무 무리를 인도보리수의

    대용나무로 선택했을까? 피나무 무리는 잎이 하트 모양으로 인도 보리수와 매우 닮았다.
    아울러서 염주를 만들 수 있는 단단하고 새까만 열매가 달리는 나무다.
    잎 모양과 염주만으로도 부처님과의 인연을 이을 수 있을 것 같다.

     

    사실 피나무는 여러종류가 있다. 피나무외에 찰피나무, 염주나무,보리자나무 등

    한참을 헤아릴 만큼이다. 식물학자가 아니면 이들의 구분이 거의 불가능하니
    절에 심은 보리수는 이런 나무 중의 어느 하나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산에는 부처님과 아무런 관련도 없으면서 '보리수'란 이름을

    지닌 나무가 예부터 자라고 있다. 잎의 뒷면이 마치 은박지처럼 하얗게 생겼고 키가

    그리 크지 않은 평범한 나무이다. 콩알 크기의 빨간 열매를 배고플 때 대용식으로 따먹기도 한다.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연산 6년(1500) 임금이 전라감사에게 이르기를,

    "보리수 열매를 익은 다음에 봉하여 올려 보내라" 하였다. 보리수 열매란 오늘날 전남 완도의

    보길도로 짐작되는 보리라는 마을에서 많이 나는 열매를 일컫는 말이다.
    그래서 보리수란 이름이 생겼고, 한글로 쓸 때는 부처님의 보리수와 혼동된다.

    우리나라 절에 보리수를 심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고려사>에 보면

    "명종 11년 (1181) 2월 정유일에 묘통사 남쪽에 있는 보리수가 표범의 울음소리와 같은

    소리로 울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니 심은 시기가 적어도 이보다는 이전일 것이다.

    중국에도 피나무가 있으니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파되면서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한편 모감주나무, 무환자나무 등 염주를 만들 수 있는

    열매를 가진 나무도 흔히 보리수라 해서 더욱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이상 박상진의 역사가 새겨진 나무이야기 중에서~  출처/야후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이야기 - 수수꽃다리  (0) 2017.08.14
연 이야기 (펌)  (0) 2017.08.14
접시꽃  (0) 2017.08.14
미국쑥부쟁이 (美國-, frost aster)  (0) 2017.08.14
populism (포퓰리즘)이란?  (0) 2017.08.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