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카스트 제도
카스트에 따른 인도인의 신분은 브라만(승려).크샤트리아(왕이나 귀족).바이샤(상인).
수드라(일반백성 및 천민) 등 4개로 구분되며 최하층인 수드라에도 속하는 않는 불가촉천민이 있다.
불가촉천민은 '이들과 닿기만 해도 부정해진다'는 생각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각 계급에서도 구체적인 직업에 따라 계급이 세분되어 바이샤와 수드라의 경우 2천여개 이상으로 세분된다.
1947년 카스트제도는 법적으로 금지되었으나 인도사회에서는 여전히 카스트에 따른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신분이 다른 계급간에는 혼인을 금지하며 이름에서부터 신분간의 차이가 있다.
카스트는 힌두교의 '업'과 '윤회'사상을 근거로 정당화되며 사람들에게 이를 숙명으로 여기게 한다.
카스트제도는 기원전 1300년께 고대 인도에서 인도-유럽 계통인 아리안족이 인도를 침입하여 원주민인 드라비다족을
정복하고 지배층으로 등장하면서 자신들의 지배를 합리화하는 과정에서 성립했다.
북인도에 침입해 온 아리아인은 현재의 유럽인과 같은 백인종 계통이었다. 그들은 원주민(유색인종)을
평정한 다음 지배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 '바루나'나 불리는 신분제도를 만들었다.
'바루나' 라는 말은 산스크리트어로 '색'을 의미한다. 결국 피부 색깔에 의해서 신분의 상하가 구분된 것이다.
당연히 지배자이며 피부색도 흰 자신들을 상위에 올려놓고 피지배 민족을 그 아래에 두었다.
그 후에 아리아인 중에서도 사회적 기능에 따르는 구분이 생겨난다. 카스트 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카스트라는 말은 혈통이라는
뜻의 포르투갈어 '카스타(Casta)'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16세기 포르투갈인이 인도의 신분제도를 보고 붙인 이름이다.
따라서 고대 신분제도인 바루나가 인도 카스트 제도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 카스트라는 말은 포르투갈어 카스타(casta:혈액의 순수성 보존을 위한 사회적 說法이라는 뜻)가 인도-유럽계(系) 언어로 전화한 것으로,
인도의 바르나(varna) 즉 ‘색(色)’, 나아가서는 피부의 색을 나타내는 말에 해당한다.
인도에는 바라문 또는 브라만(Brahman:사제자)·크샤트리아(Kshatrya:무사)· 바이샤(Vaisya:농민·상인 등의 서민),
피정복민(被征服民)으로 이루어진 수드라(Sudra:노예)의 네 바르나, 즉 카스트가 있다. 수드라를 제외한 세 카스트는 종교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드비자(再生族)라고도 한다. 네 카스트는 존귀한 자와 비천한 자라는 고저(高低)의 서열을 나타내고 있어,
보다 높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은 보다 낮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의 곁에만 가도 더럽혀진다고 할 정도로 본다.
낮은 카스트에 속한 사람은 부정시(不淨視)되었고, 따라서 각 카스트는 직업을 세습하였으며, 카스트 상호간의 통혼(通婚)은
금지되었다. 또한 이 네 카스트 밑의 불가촉민(不可觸民:언터처블·하리잔)을 아웃 카스트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카스트제(制)라고
할 때는 불가촉민도 포함된다. 사람들은 누구나 이 카스트 중의 어느 하나에 자동적으로 귀속되게 마련이며,
대대로 이 카스트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 아리안족이 인도로 이주하면서 선주(先住) 민족을 정복하고 동화시켜가는 과정에서, 소위 카스트 제도라고 하는 특유한
사회제도가 발달했다. 바라문 또는 브라만[神官], 크샤트리아[武士], 바이샤[庶民], 수드라[奴婢] 등의 4성(姓)으로 나누어지는데,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각기의 카스트에 속하며 결혼·직업 등은 동일한 카스트 내에서 행해진다.
브라만교 이후의 힌두교 제사(祭祀)는 브라만에 속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시행된다. 크샤트리아는 무사계급으로서 왕족이
여기에서 나왔다. 바이샤는 농목업((農牧業)·상업·수공업과 기타 각종 직업에 종사하는 서민계층으로, 후에 각 직종(職種)에 따라
2차 카스트가 생겼다. 카스트의 최하위는 수드라로서 대부분 피정복민으로 구성되었고, 상위 카스트의 노비(奴婢)로 종사한다.
4성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아우트 카스트라는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이 생겨, 이들은 거주(居住)·직업 등에 엄격한 차별대우를
받아왔다. 간디는 이들을 신(神)의 자녀들이라는 뜻의 하리잔(Harijan)으로 부르고 상층 계급들에게 이들을 사랑과 관용으로 대
할 것을 요청하였다. 동시대 사회운동가인 빔라오
암베드카르는 카스트 제도 폐지를 요구하는 등 좀 더 적극적으로 불가촉천민의 해방 운동을 위해 힘썼다.
독립 후 불가촉천민제는 폐지되었으며 차별 금지를 위한 특별법도 만들어졌다. 정부에서는 그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장학금제도를
설치하고, 의석의 일부를 할당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제도 개혁과 사회의식의 변화로 인해 카스트 제도는 점차 해체되어 가는 추세이나
내혼제를 비롯한 차별은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대도시와는 달리 촌락에서는 차별이 쉽게 없어지지 않고 있다.
'여행을 떠나요 > 인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거리의 이발소 (0) | 2013.03.11 |
---|---|
인도의 힌두교 신 (0) | 2013.03.11 |
인도 - 아그라의 풍경 (0) | 2013.03.11 |
인도의 전통 신발 (0) | 2013.03.10 |
인도의 음식의 마술사 마살라(masala) (0) | 201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