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의심과 공포가 생긴다.

행동하면 자신감과 용기가 생긴다.

두려움을 정복하고 싶다면

집에 앉아서 생각만 하지 말고 나가서 바쁘게 움직여라.

데일 카네기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아포리즘 (aphor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이야기  (2) 2024.11.24
아름다운 풍경 하나  (1) 2024.11.24
바람과 행복  (1) 2024.11.22
인면수심(人面獸心)  (2) 2024.11.21
같이 있는 행복  (1) 2024.11.21
728x90
반응형

"돈 주고 쓰레기 산 꼴" 발칵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아동용 겨울옷에서 국내 기준치를 한참 초과한 유해 물질이 나와 주의가 당부된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테무, 쉬인,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아동용·유아용 동절기 섬유제품 26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7개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테무에서 판매한 아동용 재킷 1종에서는 국내 기준치의 622배를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접촉 시 눈, 피부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고리 장식도 국내 기준(7.5㎝)을 초과해 안전 우려가 있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아동용 점프슈트 1종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의 약 294배 초과 검출됐으며 pH는 7.8로 국내 기준(pH 4.0~7.5)을 벗어났다.

섬유제품의 pH가 기준치 이상이면 피부 자극과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한 아동용 신발 1종은 납이 국내 기준의 약 5배를 초과했다.

유아용 우주복 1종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3.5배, 멜빵바지 1종에서는 납이 최대 19.12배 국내 기준을 초과했다.


시는 국내 이용자 수가 많은 해외 플랫폼 제품을 시기별 구매 수요 등을 고려해 안전성 검사를 계속할 방침이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seoul.go.kr) 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ecc.seoul.go.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람을 잡으려고

바람의 뒤를 쫓아가는 사람들은 바람을 잡지 못한다.

포기하고 돌아서는 사람들이 바람을 잡는다.

행복을 잡으려고

행복의 뒤를 쫓아가는 사람들은 행복을 잡지 못한다.

마음을 비우고 돌아서는 사람들이 행복을 잡는다.

글 - 이규경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아포리즘 (aphor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름다운 풍경 하나  (1) 2024.11.24
바쁘게 움직여라  (1) 2024.11.23
인면수심(人面獸心)  (2) 2024.11.21
같이 있는 행복  (1) 2024.11.21
독일인의 사랑  (1) 2024.11.20
728x90
반응형

인면수심(人面獸心) - 사람의 얼굴에 마음은 짐승

사람이 몹쓸 짓을 저질렀을 때 비유하여 짐승 같다, 짐승보다 못하다, 짐승보다 더 하다고 수시로 짐승에 갖다 붙인다.

그러나 실제 동물들은 억울하다. 사람보다 더 부모를 위할 줄 알고, 새끼들을 귀여워하고, 사랑하고 은혜를 안다.

대충의 성어를 떠올려 봐도 反哺之孝(반포지효)의 까마귀, 老牛舐犢(노우지독)의 소, 鴛鴦之契(원앙지계)의

원앙, 黃雀銜環(황작함환)의 꾀꼬리 등을 사람에게 본받으라고 한다. 그런데 사람의 얼굴(人面)을 하고 있으면서도

마음은 짐승과 같다(獸心)는 이 말은 잘못 갖다 붙인 것일지라도 사람들이 멋대로 쓴다.

도리를 지키지 못하고 배은망덕하고, 또 음탕하거나 흉악한 짓을 한 사람에게 손가락질하면서 욕한다.

성어가 처음 사용된 곳은 '漢書(한서)'다. 班固(반고)가 20년에 걸쳐 완성하여 史記(사기)와 비견되는 책이다.

열전 속의 匈奴傳(흉노전)에 처음 묘사했을 때는 흉악하기보다는 오랑캐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한 것으로 나온다.

흉노는 기원전 3세기 말부터 기원후 1세기 말까지 몽골고원과 만리장성 일대를 중심으로 거주했던 유목 기마민족이다.

周(주) 나라 때부터 괴롭혔던 종족의 후예라거나 유럽의 훈족과 관련이 있다고도 한다.

이들이 자주 침공하여 漢(한) 나라는 절세미인 王昭君(왕소군)을 흉노 족장에게 보내 화친을 도모하기도 한 것은 알려진 이야기다.

흉노를 가리킨 부분을 인용하면 이렇다. '오랑캐들은 머리를 풀어 헤치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며, 사람의 얼굴을 하였어도

마음은 짐승과 같다(夷狄之人 被髮左衽 人面獸心/ 이적 지인 피발좌임 인면수심). 狄은 오랑캐 적, 衽은 옷깃임.

옷깃을 한족과 반대쪽으로 여미는 풍습을 가리켜 미개하다 하고, 자신들을 많이 괴롭혀 흉악하다 한 것이다.

- 안병화(언론인, 한국어문 한자회)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아포리즘 (aphor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쁘게 움직여라  (1) 2024.11.23
바람과 행복  (1) 2024.11.22
같이 있는 행복  (1) 2024.11.21
독일인의 사랑  (1) 2024.11.20
깨달음의 연금술  (1) 2024.1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