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자아 존중, 자아상

 

자아 존중을 결정하는 자아상은 빈 공간에서 저절로 생겨나지 않는다.

이는 양육, 교육, 문화적 형성 과정이 합쳐져 오랜 시간 동안 천천히 만들어낸 산물이다.

양육과 교육과 문화는 다른 것들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내 존재의 당위성을 형성하는 데도 역할을 한다.

 

- 페터 비에리의 《삶의 격》중에서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아포리즘(aphor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음마  (0) 2025.05.10
마법과도 같은 기적  (0) 2025.05.09
여우와 포도  (0) 2025.05.08
몽니  (0) 2025.05.07
산다는 건 그런 것  (0) 2025.05.07
728x90
반응형

걸음마

 

걸음마를 배우는 영아는

평균적으로 2,368걸음으로 701미터를 걷고 한 시간에 17번 넘어진다.

걷기는 다른 많은 기술의 습득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시간을 두고

자주 다양하게 반복하여 연습할 때 가장 많은 학습 효과가 일어난다.

약 1년의 시간 동안 영유아들은 수천 번 걷고, 수천 번 넘어지는 과정을 통해

실패와 연습에 대한 피드백을 쌓으면서 넘어지는 횟수를 줄인다.

 

- 셰인 오마라의《걷기의 세계》중에서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아포리즘(aphor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아 존중, 자아상  (0) 2025.05.11
마법과도 같은 기적  (0) 2025.05.09
여우와 포도  (0) 2025.05.08
몽니  (0) 2025.05.07
산다는 건 그런 것  (0) 2025.05.07
728x90
반응형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사진과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씨 - 김종상  (0) 2025.05.09
나 대신 꽃잎이 쓴 이 편지를 - 홍우계  (0) 2025.05.08
애기똥풀 꽃 - 복효근  (0) 2025.05.07
꽃이 필 때 - 송기원  (0) 2025.05.06
그랬다지요 - 김용택  (0) 2025.05.03
728x90
반응형

말씨 - 김종상

 

​말이 씨가 된다

그래서 '말씨'이다

비난의 말 한마디

슬픔의 씨가 되고

칭찬의 말 한마디

희망의 씨가 된다

곡식을 심을 때

씨앗을 골라 심듯

말을 할 때는

말씨를 가려 하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