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삼겹살 '이렇게' 먹으면 대장암 경고

英 연구진 "잎채소 속 변종 대장균, 대장암의 원인"

상추 등 잎채소의 박테리아가 젊은 층의 대장암 발병률을 높이는 원인 중 하나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영국 보건 당국은 최근 오염된 상추에서 흔히 발견되는 대장균의 변종 STEC(시가 톡신 생성 대장균) 감염률이 7년 만에 10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STEC는 여러 종류의 대장균 중 시가라는 독소를 생산하는 대장균으로, 이는 다른 대장균보다 감염성과 독성이 강해 대장뿐 아니라

신장 등의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STEC는 '콜리박틴'이라는 독소를 생성해 주로 급성 혈성 설사, 경련성 복통, 구토, 발열 등을 유발한다.

또 대장암 발병 위험도 높이는데, 50세 미만에서 나타나는 원인 불명의 대장암 유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염병 전문가인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의 폴 헌터 교수가 참여한 연구팀이 상추와 관련된 STEC 감염 사례 35건을 분석한 결과,

이 중 8건은 채소 가공 과정에서 '부실한 위생 관행'이 원인이었고, 6건은 재배지 인근의 동물 배설물과 연관이 있었다.

 

전문가들은 또 기후 변화로 인해 잦아진 따뜻하고 습한 날씨가 STEC 증식을 돕는 환경을 조성한다고 분석했다.

'장기간의 폭염' 후 내린 많은 비로 오염된 토양이 물과 섞여 작물에 퍼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

헌터 교수는 "잎채소는 대장암의 잠재적인 원인 중 하나인 대장균 감염의 절반을 차지한다"면서

"STEC는 잎채소류에서 흔히 발견되며 특히 상추는 표면이 거칠고 주름이 많아 세척으로 STEC가 제거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잎채소는 껍질을 벗기거나 조리해 먹는 다른 채소와 달리 생으로 먹는 경우가 많아 감염 위험이 높다는 설명이다.

 

상추 등 잎채소를 안전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충분히 씻고, 손으로 문지르며 여러 번 꼼꼼히 헹구는 게 좋다.

또 식초를 푼 물에 상추를 1분간 담갔다가 헹구는 담금 물 세척법을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와이로(蛙利鷺)

 

고려 시대 때 이규보는 과거에 매번 낙방했다.그는 집 대문에 '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는 게 한이다.

(唯我無蛙 人生之恨)'라는 글귀를 써 붙였다.

 

어느 날 임금이 민정을 살피러 나왔다가 이 문구를 보게 되었다. 궁금증을 이기지 못한 임금은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이규보의 집에서

하룻밤 묵어가기를 청했다. 마침내 이규보와 마주 앉게 된 임금은 대문에 붙어 있는 문구에 대해 묻게 되고 이규보가 이에 답하게 된다.

 

"옛날에 까마귀가 꾀꼬리에게 내기를 하자고 했습니다. 3일 후에 노래 시합을 하자면서 심판은 백로가 보도록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노래에 자신이 있던 꾀꼬리는 좋다고 했습니다. 시합 날이 다가오자 꾀꼬리는 목청을 가다듬고 노래 연습을 하는데 까마귀는

노래는 하지 않고 개구리만 잡으러 다녔습니다. 그런데 3일 후의 노래 시합에서 목소리가 거칠고 노래 솜씨가 형편없는 까마귀가

이겼습니다. 까마귀가 백로에게 개구리를 주었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이규보가 불의와 불법으로 얼룩진 나라를 비유해서 한 말이다. 이규보의 말을 들은 임금은 과거 보러 가는 선비인척하면서

"며칠 후에 임시 과거가 있다기에 개성으로 가는 길"이라며 이규보에게도 과거 볼 것을 권했다.

 

임금은 환궁한 후 임시 과거를 명하고 시제를 '유아무와 인생지한(唯我無蛙 人生之恨)'으로 내걸게 했다.

이 임시 과거에 이규보가 합격했음은 물론이다.

 

이때부터 '개구리 와'(蛙), '이로울 리'(利), '백로 로'(鷺) '와이로'란 말이 생겼다고 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콘클라베 (라틴어 conclave)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제도로,

교황 선종시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단이 소집되어 진행되는 교황 선출 비밀 회의를 말한다.

라틴어의 cum(함께), clavis(열쇠)의 합성어인 ‘쿰 클라비’(cum clavis)에서 유래하였으며

‘열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한다. 선거인단인 추기경들이 외부와 차단된 비밀 투표장인

시스티나 성당을 걸어 잠그고 그 안에서 선거를 하기 때문에 콘클라베라는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

 

교황을 뽑는 전 세계 추기경들의 모임.

교황이 사망하거나 물러나면 16~19일 사이에 교황청의 시스티나 성당에 모여 새 교황을 선출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교황청,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 사진 첫 공개

지난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88)이 관에 안치된 모습이 22일 공개됐다.

바티칸은 프란치스코 교황 시신이 안치된 관 앞에서 추모 기도를 올리는 사진을 통해 선종한 교황의 사진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교황청에 따르면, 전날 저녁 바티칸 내 교황의 거처인 산타 마르타 1층 예배당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관에 안치하는 의식이 거행됐다.

의식 중 공식 사망 선포문이 낭독됐고, 로마 교회 대내사 케빈 패럴 추기경이 선종을 최종 인증했다. 카메를렌고로도 불리는 로마 교회 대내사는

교황이 선종한 후 교황청을 임시로 관리하는 최고 책임자를 말한다. 교황 이마를 향해 이름을 세 번 부르고, 응답이 없으면 사망으로 확인한다.

사진 속 교황은 순교를 상징하는 붉은 예복을 입은 채 평온한 표정으로 누워 있다.

머리에 고위 성직자의 모자인 미트라를 썼고 포갠 손 위에는 묵주가 놓여 있다. 교황청은 프란치스코 교황을 관에 안치한 후,

산타 마르타 관저를 공식적으로 봉인했다. 이 전체 의식은 약 1시간가량 이어졌다.

교황청에 따르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2년 6월 29일 작성한 유언에서 자신을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이 아닌 로마 성당의 장식 없는

무덤에 묻어달라고 요청했다. 무덤이 반드시 지하에 있고 단순해야 하며, 특별한 장식 없이 오직 자신의 라틴어 교황명(Franciscus)이

적힌 비문만 있어야 한다고도 했다. 교황은 “나의 육신이 부활의 날을 기다리며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서 쉬도록 하기를 요청한다”며

구체적인 무덤 위치를 지정하기도 했다.

 

BBC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100여년 만에 바티칸이 아닌 장소에 안장되는 첫 교황이 되며,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안장되는 교황으로는

1669년 이후 처음이 된다고 전했다. 대부분의 전임 교황은 사후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당에 안장됐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사랑했던 성당으로 자주 방문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2013년 즉위한 지 만 하루가 되기 전에

이 대성전에 있는 유명한 성모 마리아 성화 앞에서 기도하기 위해 이곳을 찾았고, 생전 인터뷰에서 이곳에 묻히고 싶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혔다.

이를 위해 교황은 사후 바티칸 외부에 안장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꿨다. 작년 교황청이 발표한 교황 장례 개정 전례서에는 교황의 시신을

안치하는 관을 삼중관에서 목관 1개로 줄이는 등 교황 장례 예식을 대폭 간소화하는 내용도 담겼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