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긴축 공포에 나스닥 5.2%↓ S&P 4.3%↓... 2년 만에 최악 폭락
8월 물가 상승률 8.3%에 뉴욕 증시 ‘검은 화요일’. 21일 연준 ‘1% p 금리 인상’ 가능성 급부상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되면서 통화 긴축이 경제를 침체시킬 수 있다는 공포에 뉴욕 증시가 13일(현지시각) 2년 만에 최악의 폭락 사태를 맞았다.
이날 뉴욕 증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3.94% 떨어진 31,104.97에 마감했다. S&P 500지수는 4.32% 폭락한 3,932.69에 마감했다.
금리에 가장 민감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5.16% 폭락한 11,633.57으로 마쳤다.
다우 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3대 지수 모두 하루치 하락폭으론 2020년 6월 코로나 팬데믹 봉쇄에 따른 2020년 6월 11일 대폭락 사태 이후 최대폭이다.
미 노동부는 앞서 이날 오전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8.3%라고 발표, 당초 8.0% 수준으로 완화됐을 것이라던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
뉴욕 증시는 물가 상승률 완화 기대감에 지난주부터 상승 랠리를 펼쳤으나, 이날 인플레 지속에 따른 긴축 공포로 주저앉았다.
이에 따라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이 오는 20~21일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75% p의 ‘자이언트 스텝’ 금리 인상을 한 뒤,
11~12월엔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이란 기대가 무너지고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선 연준이 내주 무려 1.00% p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가능성을 32%까지 반영하기 시작했다. 전날까지 그 가능성은 0%였다. 반면 0.75% p의 금리 인상 가능성은 92%에서 68%로 내려왔다.
'Today > 오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최장 집권 군주 엘리자베스 2세 여왕 - 2022년 9월 8일(현지 시간) 서거 (0) | 2022.09.15 |
---|---|
원/달러 환율, 1,390원 돌파…13년 5개월여 만에 처음 (0) | 2022.09.14 |
"하반기 경제 하강 국면…전 세계 `STORM` 분다" (0) | 2022.09.12 |
힌남노, 오전 7시10분 울산 앞바다로 빠져나가 (0) | 2022.09.06 |
원·달러 환율, 1,370원도 뚫었다…13년 5개월 만에 최대치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