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CB'라고도 한다.

전기 회로에서 서킷 브레이커가 과열된 회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말하듯,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갑자기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식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로 '주식거래 중단제도'라고도 한다.

 

1987년 10월 미국에서 사상 최악의 주가 대폭락사태인 블랙먼데이(Black Monday) 이후

주식시장의 붕괴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의 경우 10%, 20%, 30%의 하락 상황에 따라

1~2시간 거래가 중단되거나 아예 그날 시장이 멈춰버리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증권거래소가 하루에 움직일 수 있는 주식의 가격제한폭이 지난 1998년 12월 종전

상하 12%에서 상하 15%로 확대되면서 손실을 입을 위험이 더 커진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였다.

 

코스닥시장에는 2001년 10월 15일 도입되었는데, 현물주식과 선물옵션의 모든 거래를 중단시키는

현물 서킷브레이커와 선물옵션 거래만 중단시키는 선물 서킷브레이크로 구분된다.

현물 서킷브레이커는 현물주가가 폭락하는 경우에만 발동하며,

선물 서킷브레이크는 선물가격이 급등하거나 급락할 때 모두 발동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웃퍼폼 (outperform)  (0) 2020.03.23
해태  (0) 2020.03.20
인포데믹(infodemic·정보감염벙)  (0) 2020.03.16
앙가주망(engagement)  (0) 2020.03.06
색즉시공(色卽是空)  (0) 2020.03.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