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삼족오(三足烏)고대 신화에 나오는, 태양 안에서 산다는 세 발 달린 상상의 까마귀.
 

‘삼족오(三足烏)’ 는 흉조(凶兆) ‘까마귀’가 아니라 길조(吉兆) ‘태양새’다.


왜 발이 셋 달린 까마귀가 고구려의 상징일까?

 

8대 단군 우서한(于西翰) 편에 있는 삼족오에 관한 내용이다.

『갑인 7년(BC 1987), 세 발 달린 까마귀가 궁전의 뜰 안으로 들어왔는데 날개의 넓이가 석자나 되었다.』 /

甲寅 七年 三足烏飛入苑中 其翼廣三尺 〈단군세기〉․〈단군고사〉 고구려 고분벽화 전시회를 유심히 관찰한 사람이라면

‘왜 고구려 벽화속의 태양에는 세 발 달린 검정 새가 그려져 있을까? 하는 의문을 한번쯤 가졌을 법하다.

더구나 그 새가 하필이면 까마귀일까? 고대에는 여러 민족이 까마귀를 길조로 여겼으니, 우리 선조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까마귀는 알타이 지방, 바빌론, 유럽, 중국, 일본, 그리고 성경에까지 등장하며,세계 각지의 설화에도 등장한다.

그러나 발이 셋 달린 까마귀는 고구려 벽화 외에는 어디에도 없다. 우선, 삼족오는 동이족의 특징인 난생설화(卵生說話)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단군조선 이후 북부여와 고구려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우관(烏羽冠)이라 하여 까마귀 깃털로 만든 관을 썼다.

까마귀의 다리를 셋으로 표현한 것에는 여러 가지로 해석을 할 수 있다. 즉 단군조선이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진한’ ․ ‘번한’ ․ ‘마한’의

세 나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고, 또 고구려에 이르러서는 단군조선이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고구려’ ․ ‘백제’ ․ ‘신라’가 태어났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와 함께 삼족오의 의미를 天符印 3개로 일컬어지는 고유의 경전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그 3대 경전 가운데 

《천부경天符經》과 《삼일신고三一神誥》에는 “집일함삼 회삼귀일執一含三 會三歸一”이라 하여  “하나를 잡으면 그 속에 셋을 포함하고 있고 그 셋은

다시 하나로 돌아온다.”는 동양철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표현이 나온다. 여기서 ‘하나’는 시공을 초월한 보이지 않는 우주 삼라만상의

근원을 말하는 것이며, ‘셋’은 현상계의 삼라만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은 또한 천天(원 ․ 무극 ․ 본),  지地(방 ․ 반극 ․ 체), 인人(각 ․ 태극 ․ 용)을 의미하는

삼신 일체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 우주 삼라만상의 이치가 하나(일 ․ 무 ․ 공)에서 시작되어 모든 형상(삼:현상계)을 이루었지만 이는 다시

근본자리인 하나(일)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우리 민족에게만 있는 삼태극(三太極)문양도 이러한 고유의 철학적 이념을 문양으로 기호화한 것이다.

결국 삼족오와 삼태극 문양은 동일하게 천부인 3개의 핵심적인 내용인 ‘집일합섬 회삼귀일’라는 오묘한 철학적 사고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우리 민족 혼 찾기 사이트에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