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봉 손가락이면 폐암 조심… “손가락 마디에 살이 많으면?”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다. 영국 왕립의학협회 저널(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에는 손가락이 곤봉 모양인 것 외에도 손의 건조한 피부,
얇은 손톱 등과 같은 상태로 감춰진 질환의 단서가 있다는 사실이 발표되기도 했다. 해당 저널에 발표된 손으로 본 건강 신호 10가지다.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불린다. 한의학계에는 손과 건강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손의 상태를 통해 건강을 가늠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해외에서도 종종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곤봉 손가락이다. 손톱과 손가락 끝이 곤봉처럼 뭉툭해진 손가락을 곤봉지라 하며, 특히폐 관련 질환이
있을 경우 이 손가락 형태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폐 기능이 떨어지면 체내 산소가 부족한 저산소증이 생기고, 산소를 실은 피를 곳곳에 더 많이
공급하기 위해 혈관 내피 성장인자,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를 자극한다. 이 인자들이 말단 부위의 모세혈관과 결체조직을 증식시켜 곤봉지가 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영국 암연구소에 따르면 폐암 환자의 약 35%에서 곤봉지가 동반되며, 염증성 장 질환, 에이즈 등 의외의 질환에서도 곤봉지가 생길 수 있다.
곤봉지를 자가 진단하는 방법이 있다. 양 손바닥을 마주 보게 하고, 검지를 구부려 손톱끼리 맞대는 방식이다.
이때 손톱의 뿌리 부분에 마름모(◇) 모양의 틈이 생기면 정상이지만, 이 틈이 생기지 않으면 곤봉지라 할 수 있다.
이를 ‘샴로트의 창문 테스트’라고 한다. [이미지 출처-영국 데일리메일]© 제공: 코메디닷컴
곤봉지를 자가 진단하는 방법이 있다. 양 손바닥을 마주 보게 하고, 검지를 구부려 손톱끼리 맞대는 방식이다.
이때 손톱의 뿌리 부분에 마름모(◇) 모양의 틈이 생기면 정상이지만, 이 틈이 생기지 않으면 곤봉지라 할 수 있다.
남아프리카 심장 전문의인 레오 샴로트가 고안한 방법으로 마름모꼴 틈을 창문으로 빗대 ‘샴로트의 창문 테스트’라고 불린다.
영국 왕립의학협회 저널(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에는 손가락이 곤봉 모양인 것 외에도 손의 건조한 피부, 얇은 손톱 등과
같은 상태로 감춰진 질환의 단서가 있다는 사실이 발표되기도 했다. 해당 저널에 발표된 손으로 본 건강 신호 10가지다.
손바닥이 붉은색을 띈다면? = 간경변 의심
손은 간의 상태를 말해 주는 ‘의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 손바닥이 붉은 색을 띈다면 간경변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손바닥 홍반이라고도 불리는 이 증상은 손바닥 가장자리에서부터 빨갛게 나타나고 점차 손가락 부위로 가까워진다.
간질환이 있으면, 호르몬 균형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피부의 혈관이 확장돼 붉은 색을 띄게 된다.
손가락 마디가 포동하다면? = 고지혈증 의심
콜레스테롤이 높다는 뜻이다. 손마디에 살이 많다는 것은 가족성 고지혈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단서다.
몇 년 동안 힘줄에 지방이 축적돼 결국 살이 두꺼워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분명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잘 모르는 수가 많아 치료도 받지 못한 채 젊을 때 심장발작으로 죽는 경우가 있다.
영국에서만 500명당 1명꼴로 가족성 고지혈증이 나타나며, 아직 진단받지 못한 사람들도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손톱이 숟가락 모양이라면? = 빈혈 의심
숟가락 모양의 손톱을 하고 있다면 빈혈을 생각할 수 있다. 대부분 사람들의 손톱은 공의 한 표면처럼 굴곡을 그리며 볼록한 모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손톱의 중간부분이 푹 들어간 손톱이라면, 철분 결핍을 의심할 수 있다. 의사들은 이를 ‘숟가락 손톱’이라 부른다. 특히 피곤하거나
힘이 없으면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빈혈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철분 보충제를 섭취해줄 필요가 있다.
철 부족이 손톱을 약하게 만들어서 계속 손톱 두께가 얇아지고 부분적으로 깨지기도 한다.
손가락이 곤봉형이라면 = 폐암 조심
앞서 말한대로 곤봉형 손가락은 폐암을 조심해야한다. 손가락 끝이 작은 곤봉과 같이 둥근 모양이라면, 폐암과 같은 심각한 질환이 있다는
뜻일지도 모른다. 또한 중피종을 의심해 볼 수도 있다. 중피종은 주로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 위나 간 등을 보호하는 복막,
심장을 싸고 있는 심막 등의 표면을 덮고 있는 중피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말한다. 폐에서 생성되는 콜라겐 분해성분인 PGE2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폐에 종양이 있으면 PGE2를 지나치게 많이 생성해 몸에서 필요로 한 양의 10배정도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PGE2의 과도한 생성이 손가락 끝을 커지게 하고, 부풀게 만든다.
손톱이 푸르스레하다면 = 심장병 의심
체내 산소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손톱, 발가락, 입술의 색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홍빛을 띈다면 혈액순환이
원활하다는 뜻이지만 푸른색을 띈다면 체내에 산소 수치가 낮다는 뜻이다.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이 몸 곳곳으로 잘 흘러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색증이라고 불리는 이 상태는 심장병이 있다는 위험 신호가 될 수 있다. 혈액 내 산소 부족으로 나타난 손톱의 색은 선명한 파란색이 아니다.
혈액 내 충분한 산소가 있어 나타나는 붉은 빛보다 덜 밝은 빛으로 나타난다.
손톱에 하얀 점이 있다면 = 관절염 조심
류마티즘성 관절염이 의심된다. 촛농을 떨어뜨려 놓은 것처럼 나타난 하얀 점은 손톱에서 나타나는 거품이다.
손톱에 작은 거품이 생겼다면 관절에 어떤 이상이나 고통이 없다하더라도 류머티즘성 관절염이 있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손이나 발에 이런 것이 많이 나타날수록 관절염이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뜻이다.
손가락에 튀어나온 혹이 있다면 = 뼈 종양 의심
손가락에 튀어나온 혹 같은 것은 뼈 종양으로 골반 쪽에 골관절염이 있다는 뜻이다. 손가락에 뼈 종양이 있으면
살짝만 건드려도 아프다. 이는 골반, 무릎과 같이 몸의 어디에서나 골관절염이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종양은 헤베르덴 결절이라고 불린다. 18세기 윌리암 헤베르덴이라는 영국의사에 의해 발견됐다.
손톱 색이 2가지 빛을 낸다 = 신장 조심
신장이 안 좋다는 뜻이다. 손톱 밑 부분에서 반절은 하얀색을 띄지만 손톱 끝 머리에서부터 반절은 갈색 빛을 보인다면 신장에
이상이 있다는 뜻이다. 이런 상태는 ‘반반손발톱’이라고 부른다. 발생 이유는 요소 때문이다. 단백질을 섭취했을 때 체내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면서
만들어진 암모니아가 요소로 전환돼 소변과 함께 배출되는데 그렇지 못하고 피부와 손톱에 남아 있어 나타나는 증상이다.
손에 땀이 많이 난다면 = 갑상선 이상
갑상선에 이상 있다는 신호다.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데 그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갑상선의 활동이 지나치게 활발해져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돼 나타난다. 혈액 속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면
손바닥에 열이 많아지고 땀이 많이 나게 된다. 갑상선의 지나친 활동은 칼로리를 더 소모하게 해 더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
몸에 비례해 손이 너무 크다면 = 뇌하수체 이상
뇌하수체에 이상이 있다는 뜻이다. 손이 붓고 크다면 말단비대증 위험이 높다는 뜻이다. 발, 입술, 코, 귀의 크기도 비대하면
이 질환이 있다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뇌 시상하부 밑에 위치한 뇌하수체는 각종 호르몬선의 호르몬 분비량과 분비 시간을 조절한다.
뇌하수체 종양으로 인해 기능항진이 일어나면 거인증, 말단비대증이 생길 수 있다.
출처
곤봉 손가락이면 폐암 조심… “손가락 마디에 살이 많으면?” (msn.com)
곤봉 손가락이면 폐암 조심… “손가락 마디에 살이 많으면?”
손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불린다. 한의학계에는 손과 건강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손의 상태를 통해 건강을 가늠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는 해외에서도 종종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곤봉 손가락이
www.msn.com
'Today > 건강한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건강이 뇌에도 영향… “잇몸 염증·박테리아가 알츠하이머 유발” (1) | 2023.09.22 |
---|---|
전자레인지 편해서 애용했는데…고구마 NO·버섯 OK (2) | 2023.09.09 |
"국민 99% 코로나19 항체 보유"…재감염 위험은 여전 (0) | 2023.08.09 |
“하루 2400보만 걸어도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많이 걸을수록 좋아” (0) | 2023.08.09 |
폭염 속 먹으면 '열' 내려가는 음식 4가지 (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