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과일 없고, 전 안 부쳐도 돼”… 성균관이 공개한 ‘차례상 간소화’ 그림
“명절 스트레스 줄여 가정불화, 남녀 갈등 없는 행복한 전통문화 계승”
성균관은 ‘명절 스트레스’ 원인 중 하나로 꼽혀온 차례상에 관해 올해도 ‘간소화’를 강조했다.
성균관 의례 정립 위원회(이하 성균관), 성균관유도회 총본부, 한국 유교문화 진흥원은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명절 인사법 및 차례 방안’을 소개했다. 이날 성균관은 떡국, 나물, 구이, 김치, 술(잔), 과일 4종 등
9가지 음식을 올린 차례상을 보기로 제시했다. 송편 대신 떡국을 준비한 것이 추석 차례상과의 차이점이다.
성균관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인제
그만두셔도 된다"라고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제안한 간소화 원칙을 다시 강조했다.
또한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의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4∼6가지를 편하게 놓으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홍동백서(紅東白西·제사상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일)’나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을 다룬 문헌에 없는 표현이라고 선을 그었다. 작년에 간소화를 제안할 때
보여준 차례상에 밤, 사과, 배, 감 등이 있었는데 이는 예시일 뿐 특정 과일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성균관 관계자는 강조했다.
고인의 이름과 제사 지내는 사람의 관계 등을 종이에 적은 ‘지방(紙榜)’ 대신 사진을 놓고 차례를 지내도 되며,
차례와 성묘 중 어느 것을 먼저 할지는 가족이 의논해서 정하면 된다.
이번에 성균관이 제안한 것은 ‘명절 약식 제사’인 차례에 관한 것이며, 정식 제사를 어떻게 할지는 추후 발표한다.
성균관 의례 정립 위원회 위원장인 최영갑 성균관유도회 총본부 회장은 “제례 문제는 유림과 국민 의견을 묻고 연구해
9월쯤 결과 보고회를 하겠다"라며 “궁극적으로 가정불화나 남녀 갈등, 노소 갈등이 없는 행복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성균관은 세배 때 하는 절인 ‘전배(展拜)’의 경우, 두 손을 모으는 공수 자세를 취한 후 몸을 굽혀 절을 하면 된다고 안내했다.
'Today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하의 카카오 계정이 해외지역에서 로그인 되었습니다”…북한 해커 소행 (0) | 2023.01.26 |
---|---|
작년 아파트 실거래가 급락…공시가격도 두 자릿수 인하 전망 (0) | 2023.01.19 |
'일회용'에 속았네…40시간 넘게 쓴 마스크 성능의 반전 (0) | 2023.01.17 |
“우회전 신호등 있으면 ‘녹색 화살표’ 신호에만 우회전하세요” (0) | 2023.01.17 |
연말정산하려 '홈택스' 메일 열었다간…개인정보 털린다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