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저지와(井底之蛙)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는 바다를 말해 줄 수 없다는 뜻으로, 중국 고사 장자에 나오는 말이다.

 

≪莊子(장자)≫ 秋水篇(추수편)에 나오는 말이다.

黃河(황하)의 신 河伯(하백)이 물을 따라 처음으로 바다까지 와 보았다.

끝없이 뻗어 있는 동쪽 바다를 바라보며 北海(북해)의 신인 若(약)에게 말했다.

“나는 지금까지 이 세상에서는 황하가 가장 넓은 줄로 알고 있었는데,

지금 이 바다를 보고서야 넓은 것 위에 보다 넓은 것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소.

내가 여기를 와 보지 않았던들 영영 識者(식자)들의 웃음거리가 될 뻔했소.”

 

그러자 북해의 신이 말했다.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말할 수 없는 것은 그들이 사는 곳에만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다.

여름 벌레에게는 철만을 굳게 믿기 때문이다. 식견이 없는 선비에게 도를 말할 수 없는 것은,

그들이 배운 상식에만 묶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대는 나와 큰 바다를 구경하고

자기의 부족함을 알았으니 함께 진리를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莊子(장자)≫에는 ‘井蛙(정와)’라고만 나와 있다.

井庭蛙(정정와), 井中蛙(정중와), 井底蛙(정저와), 井底之蛙(정저지와)’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반응형

'내 마음의 풍경 > 아포리즘 (aphor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심으로 돌아가라  (0) 2025.01.07
꿈의 격차  (0) 2025.01.07
마음의 중심을 보자  (0) 2025.01.06
당신의 미래는 지금 당신의 마음속에 있다  (0) 2025.01.05
🍒 사람의 됨됨이  (0) 2025.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