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시작은 언제나 꽃이었다.
그리고 그 마지막 또한 꽃일 것이다.
'春·夏·秋·冬 > flower - 말 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등리의 들매와 지리산 피아골의 야매 (0) | 2017.04.19 |
---|---|
梅花三更(매화삼경) - 이외수 (0) | 2017.02.27 |
양귀비꽃 이야기 - 펌 (0) | 2014.06.19 |
접시꽃 (0) | 2014.06.19 |
민들레 (0) | 2014.05.15 |
바람의 시작은 언제나 꽃이었다.
그리고 그 마지막 또한 꽃일 것이다.
월등리의 들매와 지리산 피아골의 야매 (0) | 2017.04.19 |
---|---|
梅花三更(매화삼경) - 이외수 (0) | 2017.02.27 |
양귀비꽃 이야기 - 펌 (0) | 2014.06.19 |
접시꽃 (0) | 2014.06.19 |
민들레 (0) | 2014.05.15 |
양귀비꽃 이야기 - 펌................ 사진 - 엇모리
아득한 옛날 인도에 한 행복한 왕자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정원을 거닐다 이상한 새가
나무 위에 앉아 있는 것을 발견했다. 왕자는 시종들에게 그 새를 잡아오게 했다.
잡혀 온 새의 발목에는 금실이 매어져 있었고, 몸에서는 이상한 향내가 났다. 왕자는 이 새를
금으로 된 새장에 넣었다.그리고 침실 곁에 매달아 놓고 매일 바라보는 것을 하나의 즐거움으로 삼았다.
그런데 어찌 된 영문인지 이 새는 통 노래를 하지 않았다. 그런던 어느 날 왕자가 꿈을 꾸었는데
먼 나라 공주가 시종들과 함께 자기의 꽃밭 속에서 무엇인가를 찾고 있는 것이었다.
왕자가 물었다.무엇을 찾고 있느냐고, 그랬더니 공주가 말하기를 자기는 남쪽 아라후라 라는
나라의 공주인데 자기의 새가 발목에 금실을 끊고 달아나서 찾는 중이라고 했다.
왕자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새가 바로 그녀의 것임을 알자 그만 가슴이 뜨끔했지만
시치미를 뚝 떼고 그 새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공주는 그새의 이름은
자기 이름과 같아서 말할 수 가 없다고 했다. 자기네 나라에서는 공주의 이름을 알아내는
사람이 국왕이 되는 동시에 공주의 남편이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 이름은 새만이 알고 있으며, 새가 부르는 노래가 곧 공주의 이름이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새는 한 가지 꽃만을 좋아하고, 그 꽃이 자기의 이름과 같은데 그 꽃이 여기에 없으니
그 새도 여기에 없는 것이 틀림 없다고 하며 그 곳을 떠나 버리고 말았다.
꿈에서 깬 왕자는 비로소 새의 비밀을 알게 되어서 여간 기쁘지 않았다.
이제 공주의 뜰에 핀 그 꽃만 따오면 되었다. 그래서 힘센 용사를 뽑아 공주의 나라로 보냈다.
그러나 한 사람도 돌아 오지 않았다. 결국 왕자 자신이 그 꽃을 찾아 아라후라로 떠날 수 밖에 없었다.
공주가 사는 곳은 하늘까지 닿는 성이 세 겹으로 둘러 있고,
파수병들이 삼엄하게 지키고 있었다. 하지만 슬기로운 왕자는 무사히 성안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꽃밭을 지키는 용사들은 모두 자기의 부하들이었다. 그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이나라에는 이상한 약이 있어 한번 먹으면 그 전의 일을 모두 잊어 버리게 되어 있었다.
왕자는 밤을 틈타서 드디어 꽃을 따오는 데 성공했다.
꽃을 가지고 돌아온 왕자는 새장 앞에 그 꽃을 놓았다. 그 때서야 지금까지 침묵하고 있던 새가
비로소 아름다운 목소리로 “ 파파베라 파파베라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이었다.
해서 이 새의 이름도 , 꽃의 이름도 그리고 공주의 이름도 모두 “파파베라”임을 알게 된 것이다.
그 후 왕자는 공주를 왕비로 맞아들여서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고 한다.
‘파파베라 ’는 아편꽃의 라틴어 이름이다. 그러니 인도의 왕자도 당나라 현종처럼
하나의 양귀비에 취해 버리고 만 셈이라고나 할까?
양귀비의 효능은 재삼 거론 할 사항이 아니다. 그만큼 널리 알려졌기에 말이다.
거대한 중국이 그 값을 비싸게 치른 것이기도 하지만, 중국 역사에 나오는 현종의
꽃, 망국의 꽃으로 내게 각인되어 있기도 한 때문 이리라…. 그러나 우리네 옛 생활에선
"과하면 독" 이라는 선을 넘지 않았기에 `현명한 우리 선조들`은 유용하게 사용하여 왔다.
예전 시골에 가면 대 부분 어느 집이고 간에 양귀비 대를 고아서 진뜩 진뜩한 고약 같이
데려서 말려 가지고 비상약으로 사용 했었다, 그것이 없거나, 떨어진 여름에, 양귀비 피던
무렵에는 대를 짤라다 데려서 그물을 먹였다. 그러면 설사, 이질에 즉효를 보였다.
▼ 미국 서부에 캘리포니아 주는 주화가 포피다. 일명 야생 양귀비.
어디서고 볼 수 있는 이 꽃은 지천으로 피어 있다. 그런데 이 꽃에서 씨를 채취해서 식용으로 사용한다.
제빵에서, 제과에서. 어떤 약리 작용이 있는지 여부는 모르나 미국에서는 식품으로 사용된다.
씨의 크기는 볼 아주 작다. 도우넛에 베이글에, 쿠키에 까만 작은 씨가 깨보다 오분지 일1/5 크기인데
그게 묻혀 있으면 그게 양귀비 씨다. 이 꽃이 피는 계절이면 여름을 시작한다고 생각 하면 된다.
그러나 이꽃의 원래 이름이 양귀비인 것은 아니다. 중국이나 한방에서는 앵속(罌粟 )이라 부른다.
열매가 항아리같이 생기고 그 속에 좁쌀 같은 씨가 들어 있다고 해서 ‘항아리 앵(罌)` 에 ‘조 속(粟 )’자를
쓴 것이다. 혹은 미낭화 (米囊花)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쌀이 가득 든 주머니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꽃보다 그 열매나 씨의 공리성을 더 중히 여겨서 붙인 이름이라는 데에 공통점이 있다.
양귀비 꽃은 꽃잎이 보통 넉 장이다. 그러나 개중에는 겹꽃도 있는데, 이것을 여춘화(麗春花 )라고 부른다.
양귀비란 우리 나라에서만 통하는 이름이다.
梅花三更(매화삼경) - 이외수 (0) | 2017.02.27 |
---|---|
바람의 시작 (0) | 2016.10.07 |
접시꽃 (0) | 2014.06.19 |
민들레 (0) | 2014.05.15 |
꽃 - 김춘수 (0) | 2014.04.28 |
의송화(접시꽃)은
접시꽃이라는 우리말 꽃이름 말고도 촉규화蜀葵花, 덕두화德頭花, 촉계화蜀季花,
단오금 端午錦, 설기화舌其花, 목근화木槿花, 숙계화熟季花, 공계화公鷄花, 단편화單片花 등의
한자이름이 있고 특이하게 북한에서는 接種花로 쓰고 접중화로 읽는다고 한다.
한자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중국이 원산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사천(四川) 에서의 재배기록이 가장 오래라고 한다.
▼접시꽃은 역사가 오래된 꽃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란다.
봄이나 여름에 파종하면 그해에는 잎만 무성하고 이듬해 줄기를 키우면서 꽃을 피운다.
꽃의 색깔은 여러 가지이며 홑꽃과 겹꽃이 있다. 줄기, 꽃, 잎, 뿌리를 한약재로 쓴다
바람의 시작 (0) | 2016.10.07 |
---|---|
양귀비꽃 이야기 - 펌 (0) | 2014.06.19 |
민들레 (0) | 2014.05.15 |
꽃 - 김춘수 (0) | 2014.04.28 |
코스모스 (0) | 2013.12.17 |
양귀비꽃 이야기 - 펌 (0) | 2014.06.19 |
---|---|
접시꽃 (0) | 2014.06.19 |
꽃 - 김춘수 (0) | 2014.04.28 |
코스모스 (0) | 2013.12.17 |
그 꽃 (0) | 2013.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