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가피 - 거풍습강근골(祛風濕强筋骨)

 

오갈피나무의 뿌리나 줄기의 껍질은 간장과 신장에 좋고, 힘줄과 뼈를 강하게 하는 데 쓴다.
오가피는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한 편에 속한다.풍습(風濕)이 원인인 신경통, 관절통 등에

쓰고 간과 신을 보해주며, 근골을 강하게하는 약이나  양체질의 사람에게 좋다.

 

오가피는 오갈피라고 불리는 식물로 학명은 아칸토파낙스(ACANTHOPANAX)며

인간의 몸을 다스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오가피는 잎이 산삼, 인삼과 구분이 잘 되지 않을 정도로 비슷해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귀중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간경, 신경, 강심, 음위증, 신경통,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주로 사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친정 나들이 길에  만난  친구가 쌈으로 싸서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으면 
몸에 좋다고 집에서 기른 오갈피 잎을 듬뿍 주었다. 쌉싸름하고 향긋하니 맛이 특이했다.

쌈으로 먹기에는 양이 많아 장아찌로 담가 두고 먹기로 하였다.

 

먼저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빼고 

 물. 진간장. 설탕.식초를 (3:1:1:1) 비율로 섞어 팔팔 끓인 다음 식혀서

오갈피 잎이 물에 잠길 정도로 붓고 돌멩이로 눌러 둔다. 
(식성에 따라 설탕과 식초를 적당히 섞으면 된다.)

2~3일 지난 다음 그 물을  따라 다시 끓여서 식힌 다음 붓는다. 3번 정도 하면 오래 두어도

맛이 변하지 않는다. 냉장 보관하고 입맛 없을 때나 고기 구이하고 먹으면 아주 좋다.


▼ 물에 씻기 전에 사진을 찍었
더라면,.. 아쉽네~♬

 

잎이 인삼잎을 닮았다.
인삼은 몸이 차가운 음체질의 사람에게 맞고 오
가피는 그 반대로 양체질의 사람에게 이롭다.
즉, 몸이 차가운 사람은 인삼이 맞고, 뜨거운 사람은 오가피가 맞다.


 

# 물기를 제거한 다음 유리그릇에 차곡차곡 넣는다.


 


 

# 물.간장.설탕.식초.소금 약간을 섞어 끓여서 붓는다.



  

 

# 뚜겅을 덮어 냉장고에 보관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민들레는 더 높이 더 멀리 날아 가고 싶다

살아 오면서 누군가의 마음에 들어 가고파 내 마음은 몇 번이나 흔들렸을가.

아니 누군가의 마음을 흔들고 온 적은 없었을가.

오늘,
바람을 기다리다 지쳤을 민들레를 찾아

눈맞춤을 하고 비바람에 맞서 꽃을 피우고열매 맺은 씨앗을 카메라에 곱게 담았다.

더 멀리 더 높게 날아꿈을 펼치길 바라며...

관모로 치장한 민들레를 따서 후우~♬

바람이 되고픈 내 희망(그리움)도 날리고 왔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전에 쓰던 캐논 20d 가  메뉴 조작이 조그셔틀로 되어 있고 조작법이 비슷해서 다루기가 쉬운 줄 알았는데,

EOS 5D Mark II를 막상 손에 넣고 보니 다시 익혀야 할 메뉴가 많다.
픽쳐 스타일도 설정해야 하고, 조금 더 무거워진 바디에 적응도 해야 하고
산넘어 산이다. 
우선 베란다에 피어 있는 `군자란`을 모델로 하여 스팟측광. Iso.
조리개값을 달리해서 심도도 보고 나름대로 찍어 보았다.

Lcd 창으로 보이는 화면은 이거다 싶은데 컴으로 옮기니  흔들리고 별로다.
이제 겨우 사진에 입문한지 1년여~ 초보 찍사는 갈길이 멀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EOS 5D Mark II 를 주문한지 20여일 만에 어제 드디어 픽스딕스에서 전화가 왔다.
드디어 오늘 오후에 EOS 5D Mark II 를 사가지고 왔는데, 평소 가지고 싶었던 터라
무척 좋을 것 같았는데, 막상 사고 보니 심드렁하다고나 할가.
사진기가 좋아야 사진 잘 찍는 것이 아님을 알기에 그런가~ㅋ. 막상 찍을 거리도 생각나지 않고, 기분이 그냥 묘하고 그렇다.
본래 낯가림이 있는 편인이라 EOS 5D Mark II 하고 친해지려면 한참 걸려야겠지~ㅎ
아무튼 EOS 5D Mark II 야 만나서 반갑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