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바라나시의 갠지스강의 Ghat(화장터)

 

가트(Ghat)는 강과 연결된 계단을 말하는데 메인 다사스와메드 가트 도착하니 막 어듬이 시작되고 있었다.

서둘러 보트에 오른 우리는 멋진 일몰을 기대했지만, 아쉽게도 흐린 날씨라 보지는 못했다.

사라나트에서 나온 석가모니의 사리를 갠지스강에 흘려 보냈다는데, 불교 순례자들이 사리가 닿았을지 모른다하여

많이 찾아온다는 강 건너편 모래밭에 잠시 내렸다가 강을 따라 오르락 내리락. 가트를 구경하다가 불길이 솟고 있는

화장터로 향했다. 더이상 가까이 갈 수 없는 곳까지 우리는 시신을 떠 메고 내려와 강물에 담근 다음 화장하는 모습을 어렴풋이나마 볼 수 있었다.

 

영혼이란 무엇일까? 그들이 생각하는 영혼은 무엇일까.

바라나시를 찾았던 여행자들이 외치던 그 영혼은 무엇일까

 

이곳에서 화장하는 사람은 돈있는 사람들만이 할 수 있고 지정된 나무만 써야 한다니

카스트라는 신분제도가 만들어 낸 최하층인 수드라에도 속하지 않는 불가촉천민에겐 그림의 떡일지도 모르는…,

있는 자만이 누리는 특권이 되어 버린 의식은 너무 불공평하지 않은가.

 

잠시 그들의 문화(종교)에 대해 생각해 본다. 육신마저 남김없이 태워 갠지스강에 뿌려져 죄(신분)를 사함 받아

내세(극락)에선 새롭게 시작한다는 가진 자(브라흐(Brahman)의 진리(메세지)가 없었다면 그 많은 세월을 어떻게

지탱할 수 있었을 까. 카스트라는 제도하에서는 죽어야만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일 거라는 순전한 내생각이다.

 

▼ 더이상 가까이 가서 사진을 찍으면 안된다. 그들의 영혼이 천국으로 가지 못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인도의 힌두교인들은 태어나면  갠지스 강물로 세례를 받고 죽은 다음엔 화장하여 갠지스강에 뿌려지는 것을 최고의 삶으로

생각한단다.그래야 다시 좋은 사람으로 태어난다는 윤회사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정한 종교관이 없는 나는 윤회보다는 천국과 지옥은 내 마음 속에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라나시 갠지스강의 일몰

 

바라나시는 기원전부터 산스크리트로 알려져 온 고도(古都)이며 갠지스강 연안에 위치하며, 힌두교7개 성지(聖地) 가운데

으뜸으로 꼽힌다. 바라나시(Varanasi)시바(Shiva)신과 갠지스강과 연관이 있으며 뜻은 `빛나다 `이다

 

바라나시는 5000년 이상의 고대 흔적이 찬란하게 남아있는 역사적인 건물이 강변에 가득한 도시다.

 힌디어로 '강가(Ganga)'로 불리는 갠지스강인도 힌두교도에게는 가장 성스러운 강이다.

 

힌두교의 삶은,

태어나 갠지스강에서 세례를 받는데서 시작해 숨을 거둔 뒤에 화장돼 이 강에 뿌려지는 것으로 끝난다.

화장한 재를 갠지스강에 뿌리는 것은 성스로운 강물로 영혼이 속죄를 받아 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힌두교도 사이에서는 이 강물에 목욕재계하면 모든 죄를 면할 수 있으며, 은 뒤에 이 강물에 뼛가루를 흘려보내면 극락에 갈 수 있다고 믿고 있다.

 

힌두교의 특징적인 사상은 윤회()와 업(), 해탈()의 길, 도덕적 행위의 중시, 경건한 신앙이다. 어머니의 강이리고

불리는 갠지스 강물은  오랜 세월 용기에 담아 놓아도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번식을 하지 못하고 또 썩지도 않는 ‘신비하고 성스러운 물’이라고 한다.

 

가트는 강과 연결된 계단을 말하는데 메인 다사스와메드 가트에 도착하니 막 어듬이 시작되고 있었다.

서둘러 보트에 오른 우리는 멋진 일몰을 기대했지만, 아쉽게도 흐린 날씨라 보지는 못했다. 사라나트에서 나온 석가모니의 사리를

갠지스강에 흘려 보냈다는데, 불교 순례자들이 사리가 닿았을지 모른다하여 많이 찾아온다는 강 건너편 모래밭에 잠시 내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라나시 갠지스 강가에서 디아를 파는 아이들

 

바라나시 강가(갠지스)에서 여행객을 상대로 종이로 만든 촛불 꽃 디아를 파는 아이들.

촛불을 붙이고 소원을 담아 갠지스강에 흘려 보내면 이루어진다고….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도 여행 2일차 오후

한국인 보다 더 한국인 같은 우리의 가이드 핀투씨가 인도의 상징은 갠지스강. 간디. 카레. 이 세가지라고 한다.

 

숙소에서 점심 식사를 하고 잠시 쉰 다음 사이클 릭샤를 타고 갠지스강으로 갔다.

사실 사이클 릭샤를 타고 뒷자리에 앉아 있는 것이 많이 곤혹스럽고 불편했다.

(릭샤왈라들이 날씬하고 그리 튼튼해 보이지 않아서)

여행자들은 '사이클릭샤'에서 가장 인도적인 기분을 느낀다고 하지만, 그때처럼 내 몸무게가 제법 나간다는

사실이 미안한 적도 없었다~ㅎ

 

도로는 끝없이 이어지고 그 사이로 소, 개. 소달구지, 짐수레, 보행자, 사이클릭샤, 오토릭샤, 오토바이, 자동차 등이

여기 저기 띠~~띠~ 빵빵. 뚜~뚜. 삐 삐. 뿌우우. 빠라라~빠바바.~~♬

아마 세상 모든 경적 소리는 다 있나 싶게 끊이지 않는다. 처음엔 왜 이렇게 무질서하게 려 대나 싶었는데

`당신이 나를 위히여 경적을 울려 주길 바란다` 그것이 예의라고 생각한다니 조금 수긍도 가고 나중엔

인도음악이려니 했다. 무질서 속에서 나름 질서도, 인도인들의 여유(?)도 신기했다.

 

▼인도나 방글라데시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 흔한 이동수단으로,  일본어의 ‘리키샤(力車)’의 발음이 변화되어 만들어진 말이다.

대부분의 릭샤는 보통 자전거를 개량한 사이클릭샤(Cycle-rickshaw)와 소형 엔진을 장착한 3륜차인 오토릭샤(auto-rickshaw)이다.

인도에서는 릭샤를 끄는 사람을 릭샤왈라라고 부른다. 사이클 릭샤는 자전거 뒤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바퀴 달린 의자를 붙여놓은 3륜차로서,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단거리 이동을 할 때 주로 이용한다.

 

아들과 나를 태워 준 릭샤왈라의 깊은 눈매가 인상적이다.

 

 

 

▼ 어디나 아이들은 천사다

 

삼삼오오 모여 앉아 있는 남자들. 거리에서 흔히 보는 풍경이다.

 

▼ 도로 사정이 좋지 않은데도 부딪치거나 요동치지 않고  수 많은 장애물을

헤치고 나가는 릭샤왈라 솜씨가 대단하다.

 

▼ 복잡한 곳에서 자전거 타는 솜씨가 예술이다.

 

 

갠지스강으로 가는 ‘거들리아 거리’는 도로 폭이 매우 좁으며 나지막한 낡고 오래된 건물에

    각종 점포들이 길 양쪽으로빼곡히 들어차 있다.

 

 

 

릭샤에서 내려 갠지스강 가기 전 사거리에 만난 늙은 소.

 그 소음 속에서도 꿈쩍않고 앉아 있는 모양새가 어떤 경지에 이른 듯도하다.

  여기서 부터 걸어가야 한다.

 

기본 탑승 인원은 2명이지만, 유치원 등하교용은 좌석을 개조해 최대 10명 이상이 탄다.

   중년 남자가 두 다리 힘만으로 10명 이상을 태우고 가는 모습을 많이 만날 수 있다.

   오토릭샤안도 버스 속에도 길거리도 사람들로 넘쳐나고 있다.

 

 

 

 

 

 

 

 

▼세계 제2 인구 답게 정말 사람들이 많다.

 

 

 

 

▼갠지스강이 보인다. 힌디어로 '강가(Ganga)'라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