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늙은 말의 지혜(老馬之智)

 

관중(管仲)과 습붕(隰朋)이 환공(桓公)을 따라 고죽국을 칠 때 봄에 가서 겨울에 돌아오다가 미혹되어 길을 잃었다.

관중(管仲)이 가로되 「늙은 말의 지혜(智慧)를 이용할 만하다.」 하고 곧 늙은 말을 풀어 그 말을 따랐다.

또한 산중을 진군하고 있을 때 물이 없어 갈증이 나자 습붕(隰朋)이  「개미는 겨울이면 남쪽에 살고 여름이면 산의 북쪽에

사는 것이므로 개미집의 높이가 한 치라면 그 지하 여덟 자를 파면 물이 있다.」고 말하여 파보니 과연 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미물도 뛰어난 장점이 있듯이 하찮은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뛰어난 점이 있어; 적재적소(適材適所)에

배치하여 할 일을 부여한다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비자(韓非子)의 설림상(說林上) 中 

 

중국의 제나라 명재상 관중이 왕과 함께 “공죽”이라는 작은 나라를 토벌하러 갔을 때이다. 출정할 때는 봄이었으나 돌아올 때는

겨울이 되어서 군사들이 길을 잃고 눈 덮인 산야를 헤매 게 됐다.  그러나 그는 늙은 말을 풀어놓아 그 말을 따라가니 길이

나왔다는 고사가 있다. 여물만 축낼 줄 알았던 늙은 말의 지혜를 빌린 것이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전등사 대웅보전 나부상  (0) 2021.01.09
매크로(macro) 프로그램  (0) 2021.01.05
폴리테이너(politainer)  (0) 2020.12.26
카이사르  (0) 2020.12.20
포퓰리즘(populism)  (0) 2020.1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