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포퓰리즘(populism) - 대중의 견해와 바람을 대변하고자 하는 정치 사상 및 활동.

 

어원은 인민이나 대중 또는 민중을 뜻하는 라틴어 ‘포풀루스(populus)’에서 유래하였으며, 대중주의() 또는

민중주의(), 인민주의()라고도 한다. 포퓰리즘에 대한 정의를 정확하게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대중의 견해와 바람을 대변하고자 하는 정치 사상 및 활동을 가리키며, 소수의 엘리트가 다수의 대중을 지배하는

엘리트주의에 상대하는 개념으로 간주된다.

 

포퓰리즘의 기원에 대해서는 로마시대의 호민관 그라쿠스 형제가 농지 개혁을 추진하던 기원전 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도 하지만,

19세기 후반에 러시아에서 농민 계몽을 통하여 사회 변혁을 꾀한 '나로드니키(Narodniki) 운동'과 미국에서 인민당(People's Party)을

중심으로 전개된 농민운동에서 비롯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더 일반적이다. 나로드니키운동의 주장 및 방침을 지칭하는

나로드니키주의(Narodnichestvo)를 영어로 번역한 것이 포퓰리즘이기도 하며, 인민당을 파퓰리스트당(Populist Party)이라고도 칭한다.

이 시기의 포퓰리즘운동은 농민(대중)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농촌 민주주의를 복원하려는 대중 중심의 사회운동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 포퓰리즘 (populism/두산백과)

 

대중의 의견 등을 대변하는 등 대중을 중시하는 정치 사상 및 활동을 이르는 말로, 인민이나 대중을 뜻하는 라틴어 ‘포풀루스(Populus)’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는 다수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다수의 참여와 지배를 강조한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포퓰리즘에 대해

대중을 전면에 내세우고 대중적 지지만을 좇는 '대중영합주의'로 보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현대의 포퓰리즘은 특히 정치적인 목적으로 일반대중, 저소득계층, 중소기업 등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취하는 일련의 경제정책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국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적자예산 운용, 소득 재분배를 위한 명목임금 상승과 가격 및 환율통제 등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리테이너(politainer)  (0) 2020.12.26
카이사르  (0) 2020.12.20
회음후열전(淮陰后列傳)  (0) 2020.12.17
토사구팽(兎死狗烹)  (0) 2020.12.17
그래피티(graffiti)  (0) 2020.1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