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일 G7(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단체 사진을 찍었을 때 맨 앞줄에 섰던 것은
한국의 대외적 위상과는 별다른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의 G7 준비팀 관계자는
“전통적으로 영국은 국가 원수에 대한 예우를 해왔다”며 “대통령을 총리보다 앞줄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 맞다”고 답했다.
보통 외교가에서 국가 원수(head of state)는 국왕(king·queen) 또는 대통령(president)을 말하며,
내각제를 채택한 나라의 총리(prime minister)는 국가 원수로 분류하지 않는다.
이번 G7 단체 사진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이 마지막 세번째 줄에 선 것은 국가 정상을 우선시한 의전 원칙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총리, 국제기구 수장 순서였다는 얘기다. 총리 중에 유일하게 마지막 줄에 선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는
지난 2월에 취임해 이번 G7에 온 정상들 가운데 가장 재임 기간이 짧다.
이번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정상(게스트 국가 포함) 가운데 대통령은 문 대통령을 포함해 미국의 조 바이든,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남아공의 시릴 라마포사 등 4명뿐이며, 이들은 모두 주최자(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 함께 맨 앞줄에 섰다.
따라서 주최자와 대통령은 맨 앞줄에 서게 했고 총리들은 두번째와 세번째 줄에 서게 한 것이 주최측의 의전 원칙이었다.
보통 다자 회의에서는 재임 기간이 긴 정상을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관례가 있다. 이 기준에 비춰 보면 맨 앞줄에 선
4명의 대통령 중 2017년 취임한 문 대통령과 마크롱 대통령이 주최자인 영국의 존슨 총리에 더 가깝게 섰고,
2018년 취임한 라마포사 대통령과 올해 취임한 바이든 대통령이 더 바깥에 선 것으로 보인다.
'Today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쥴리 벽화 건물주 "정치의도 없다, 그냥 쥴리 생각났다" (0) | 2021.08.05 |
---|---|
남미 브라질에 이례적 한파... (0) | 2021.07.30 |
뱅크시가 그린 `게임 체인저` (0) | 2021.03.24 |
임영웅, 2020년 가장 뜨거웠다 (0) | 2020.12.14 |
남극 펭귄·물개 떼죽음 위험 (0) | 2020.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