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客中書懷(객중서회) - 다산 정약용

 

북풍에 흩날리는 눈처럼 불어 날리어

남쪽 땅 강진의 밥집에 이르렀다.

 

작은 산이 바다를 가려주니 그나마 다행스럽고

                   빽빽한 대나무는 꽃처럼 아름답다.

 

습기있는 땅이라 겨울옷을 벗어내고

근심이 많으니 밤마다 술만 더한다.

 

나그네 근심 끄게 해주는 한가지

동백꽃이 설 전에 벌써 활짝 피었네.

 

北風吹我如飛雪 南抵康津賣飯家

幸有殘山遮海色 好將叢竹作年華

衣緣地瘴冬還減 酒爲愁多夜更加

一事纔能消客慮 山茶已吐臘前花

 

북풍이 거세던 한겨울, 음력 11월말 저녁무렵에 다산과 그의 형 약전은 귀양살이 가는 길에 강진과 흑산도의 마지막 갈림길인

나주부근의 밤남정 주막집에 도착하였다. 간신히 몸을 부비며 함께 잠을 청한 형제는 또 다음날 아침 일찍 귀양지로 떠나야 했다.

주막집에 도달한 다산은 그 때의 감회를 객중서회를 통해 나타내었다.

자신의 신세를 북풍에 흩날리는 눈처럼 불어 날리어 남쪽의 강진 밥집에 이르렀다고 했다.

 

다음날 형 약전은 흑산도로, 자신은 강진으로 가야만 했고, 이미 큰형 약종은 천주쟁이로 몰려 옥사하였다. 

살아남은 형제는 앞날을 가늠하기가 어려웠고, 실제로 밤남정에서 헤어진 후 귀양살이 16년째에 형 약전이 세상을 떠났으니

두 형제는 다시 얼굴을 보지 못하였다. 경기도 시골이 고향인 다산은 남녘에서 주로 자라는 동백꽃을 보지 못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산다(山茶)라 불리우는 동백의 붉음의 신비로움만이 시름에 지친 다산을 위로하여 주었다. 그때가 1801년의 한겨울 음력 11월말 이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 나면 이렇게 행동하세요 - 상황별 대피 요령 안내  (0) 2017.11.30
마음을 다스리는 글  (0) 2017.09.03
올리브 나무 (Olive)  (0) 2017.08.15
바위돌꽃  (0) 2017.08.15
구름송이풀  (0) 2017.08.15
728x90
반응형

 

올리브 나무 (Olive) - 물푸레나무과의 상록교본

꽃 말 : 평화 원산지 : 남유럽 감람나무라고도 불리는 올리브 나무는 오랜 시간 동안 전통과 역사의 대명사로, 평화와 안전,

불멸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이는 강한 생명력으로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수명이 길어 평균 6백년 이상 사는데 예루살렘 올리브 언덕에 있는 것은 2천년, 이탈리아에는 무려 3천5백년이 넘는 나무도 있다고 하니, 불멸의 상징으로 여겨질 만 하다.주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정확한 기원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중해 지역에서 발견되는 화석을 토대로 볼 때 기원전 1만 2천년 경이라고 추정한다. 올리브 나무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농작물 중의 하나로, 기원전 3천년 경 청동기 시대부터 경작되기 시작했다고 전해지며, 고대 함무라비 법전, 이집트 파피루스 문서 등 오래된 문서들에서 올리브 나무를 찾을 수 있다. *올림픽 마라톤경기의 우승자에게 3천년 이상된 올리브 나무 잎을 월계관으로 씌운다. 고흐의 올리브 나무 마티스 - 올리브나무 사이로의 산책 Promenade among the Olive Trees. 1905?6. Oil on canvas. 44.5 x 55.2 c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올리브 오일 이야기 지중해 사람들은 오래 전부터 올리브 오일을 식용, 치료용, 화장용, 의식(제례)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해 왔다. 이중에서 식용으로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었으며,

특히 산화방지제 성분이 젊음과 건강함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그리고 올리브 오일은

피부병 환자들의 치료제로 쓰여, 상처를 소독하고 생살을 돋게 하는데 포도주와 올리브 오일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올리브 오일은 각종 피부염과 궤양에 효과를 발휘하였고, 올리브 오일로

피부를 관리하기도 하였다고 한다.샤워 후 올리브 오일을 몸에 바르는 것은 부유층만이 누릴 수 있는

사치였다고 한다.또한 왕과 성직자들은 올리브 오일을 왕실 행사나 종교행사에 성스러운 기름으로서

정화의식을 치루기도 했다. 아직도 카톨릭에서는 세례 때 올리브 오일을 바르고 있다.

 

 

 

 

 

 

 

 

 

 

 

 

 

 

 

 

 

 

올리브 열매는 핵과(核果)로 타원형이며 자흑색으로 익는다. 터키가 원산지라고 하며

BC 3000년부터 재배해 왔고 지중해 연안에 일찍 전파되었다. 주요 생산국은 이탈리아·에스파냐·

그리스·프랑스·미국 등이다. 과육에서 짠 기름을 올리브유(油)라고 하며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올리브유는 압착법(壓搾法)·추출법(抽出法)으로 채유한다. 올리브유는 구약성서에도 기록이 있을 만큼

오래 전부터 이용되었던 식용유로서 용도가 다양하다. 생산 지역은 지중해 연안과 미국이며,

한국에서는 전혀 생산되지 않아 전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아래사진- 스페인의 올리브 나무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을 다스리는 글  (0) 2017.09.03
客中書懷(객중서회) - 다산 정약용  (0) 2017.08.23
바위돌꽃  (0) 2017.08.15
구름송이풀  (0) 2017.08.15
배초향(排草香)  (0) 2017.08.15
728x90
반응형

바위돌꽃 -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고산지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7∼30cm이다. 전체에 흰색이 돌고 뭉쳐나며 밑부분은 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육질이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윗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단성화로 7∼8월에 피고 연한 노란색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돌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수꽃에는 퇴화한 암술과 8∼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에는 4∼5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4∼5개이며 길이 6∼7mm이고 9월에 익는다. 북반구에 분포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客中書懷(객중서회) - 다산 정약용  (0) 2017.08.23
올리브 나무 (Olive)  (0) 2017.08.15
구름송이풀  (0) 2017.08.15
배초향(排草香)  (0) 2017.08.15
고마리  (0) 2017.08.15
728x90
반응형

 구름송이풀  - Pedicularis verticillata.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은 산에서 자란다. 꽃은 7∼8월에 자홍색으로 피는데 꼭대기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1.5cm 정도이며 수술은 4개이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올송이풀이라고도 한다. 높은 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15cm이고 꽃이삭과 원줄기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난 잎은 뭉쳐나고 잎자루와 함께 길이 4.5∼8cm로서 꽃이 필 때도 남아 있다.
줄기에서 난 잎은 2∼6개씩 돌려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다.

길이 2∼3cm, 나비 5∼10mm로서 깃꼴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붉은자주색으로 피는데 꼭대기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원기둥 모양 입술꼴로 길이 1.5cm 정도이며 수술은 4개이다. 포는 삼각형으로 꽃받침보다 길고 깃꼴 또는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며 밑부분이 좁다.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으며 끝이 길고 뾰족하다. 종자는 길이 3mm로서 겉에 타원형 그물눈이 있다.

밀원식물이며 어린 순을 먹는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한국의 제주도·남부지방·북부지방을 비롯한 북반구 한대에 분포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리브 나무 (Olive)  (0) 2017.08.15
바위돌꽃  (0) 2017.08.15
배초향(排草香)  (0) 2017.08.15
고마리  (0) 2017.08.15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0) 2017.08.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