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opulism (포퓰리즘)이란?

정책의 현실성이나 가치판단, 옳고 그름 등 본래의 목적을 외면하고

일반 대중의 인기에만 영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정치행태를 말한다.

대중주의라고도 하며, 인기영합주의·대중영합주의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대중적인 인기, 비현실적인 선심성 정책을 내세워 일반 대중을 호도하여

지지도를 이끌어내고 대중을 동원시켜 권력을 유지하거나 쟁취하려는 정치형태를 말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시꽃  (0) 2017.08.14
미국쑥부쟁이 (美國-, frost aster)  (0) 2017.08.14
꼼수/명사-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0) 2017.07.11
리플리 증후군이란  (0) 2017.07.11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  (0) 2017.07.11
728x90
반응형

 

꼼수나 부리며 배신을 밥 먹 듯 하는 인간들과

기회주의자(간쓸개)들이 새겨 듣고 명심해야 할 명언 모음.

 

* 事必歸正(사필귀정)  일의 사단은 반드시 바른 곳으로 귀착이 된다.


* 自業自得(자업자득)  스스로 지은 것은 스스로 거두게 마련이다.


* 種瓜得瓜 種豆得豆 (종과득과 종두득두)

   오이를 심으면 오이를 거두고, 콩을 심으면 콩을 거둔다.(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 天網恢恢疎而不漏 (천망회회 소이불루)

   하늘의 그물망은 넓고 성긴 듯 하나, 는 법이 없어 빠져 나갈 수 없다.

   결국 소금 먹은 자가 물을 들이키고, 뿌린 자가 거둬 들이게 마련이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쑥부쟁이 (美國-, frost aster)  (0) 2017.08.14
populism (포퓰리즘)이란?  (0) 2017.08.02
리플리 증후군이란  (0) 2017.07.11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  (0) 2017.07.11
populism(포퓰리즘)  (0) 2017.07.11
728x90
반응형

 

리플리 증후군이란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고 믿고 거짓된 말과 행동을

상습적으로 반복하는 반 사회적 인격장애를 뜻하는 말이다.

이 증후군은 성취욕구가 강한 무능력한 개인이 마음속으로 강렬하게 원하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사회구조적 문제에 직면했을 때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개인은 이런 상황에서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어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시달리다가 상습적이고 반복적인 거짓말을 일삼으면서 이를 진실로 믿고 행동하게 된다.

'리플리 증후군'이란 용어는 미국 소설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재능 있는 리플리 씨(The Talented Mr.Ripley)'(1955)라는 소설에서 유래했다.

이 소설의 주인공 '리플리'는 거짓말을 현실로 믿은 채 환상 속에서 사는 인물로 등장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신정아의 학력위조 사건을 영국의 일간지 인디펜던트가

'재능 있는 신씨(The Talented Ms.Shin), 한 여성은 한국의 문화귀족을 어떻게 농락했나?'라는

제목으로 보도하면서부터 이 용어가 널리 알려졌다. '재능 있는 리플리 씨'를 빗댄 제목이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pulism (포퓰리즘)이란?  (0) 2017.08.02
꼼수/명사-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0) 2017.07.11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  (0) 2017.07.11
populism(포퓰리즘)  (0) 2017.07.11
수작질(酬酌)의 語源  (0) 2017.04.08
728x90
반응형

 

파노플리 효과(panoplie effect)

 

상류층이 되고자 하는 신분 상승의 욕망이 소비로 나타나는 현상을

`파노플리 효과(effet de panoplie)` 또는 `파노플리 집합'이라고 한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장 보드리야르가 1980년대에 명명한 개념이다.

 

파노플리 효과란 사람들이 특정 상품을 소비할 때, 비슷하거나 같은 수준의 상품을

소비하는 사람들과 같은 집단 혹은 같은 부류라고 느끼는 환상을 가지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한 세트’ 혹은 ‘집합’이라는 뜻을 의미하는 프랑스어인 파노플리에서 파생된 용어로서

 어린이가 키즈카페 등에서 요리사 놀이세트를 가지고 놀면 마치 자신을 요리사로 느끼는 것처럼,

고가의 가방을 구입함으로써 소비자는 마치 상류층이 된 듯한 환상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1980년대 프랑스의 사회학자인 장 보드리야르가 주장한 것으로 알려진 파노플리 효과는

사람들이 상품을 구매할 때 일반적으로 실용성, 가격 등의 요소를 고려하게 되지만 상품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소비하여 심리적인 만족을 얻는 것도 상당하다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과시욕과는 또 다른 의미로 고가일수록 더 잘 팔리고,

비싼 물건을 소유하고 싶어하는 욕망은 `베블렌 효과'라고 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꼼수/명사-쩨쩨한 수단이나 방법.  (0) 2017.07.11
리플리 증후군이란  (0) 2017.07.11
populism(포퓰리즘)  (0) 2017.07.11
수작질(酬酌)의 語源  (0) 2017.04.08
환향녀(還鄕女), 화냥년, 호로자식  (0) 2017.04.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