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배초향(排草香) - 방애잎·중개풀·방아풀이라고도 한다.

양지쪽 자갈밭에서 자란다. 높이 4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5∼10cm, 나비 3∼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1∼4cm의 긴 잎자루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입술 모양이며 7∼9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윤산꽃차례( 序) 에 달리고 향기가 있다.

꽃차례는 이삭 모양으로서 길이 5∼15c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길이 8∼10mm로서 윗입술 모양 꽃잎은 작고

아랫입술은 크며 5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납작하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하고 관상용으로 가꾸기도 한다. 성숙한 것은 포기 전체를 소화·건위·진통·구토·복통·감기 등에 약으로 사용한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효능 -우리나라 말은 향여, 수고화, 배향초, 밀봉초 라고도 불리운다.
한라산 중턱에서 꼭대기까지 군락지가 있는데 식용, 관상용, 약용 등이 있는데 씀씀이가 다양하다. 이와 같은 향유를 10월에 채취하여

약재로 보관할 때 꽃이나 뿌리까지 버리지 않고 그늘에서 은근히 말려 사용한다. 이러한 향유는 입에서 나쁜 냄새가 나는 사람은

향유 9g을 끓여 식혀두고 그 물로 양치질 하면 충족할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더위를 심하게 타는 사람은  향유를 약 8g을

끓여 냉장고에 넣고 식혀 마시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성분-해열, 발한작용, 위액분비 촉진, 위장의 연동운동, 신장혈관자극 등의 약리가 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돌꽃  (0) 2017.08.15
구름송이풀  (0) 2017.08.15
고마리  (0) 2017.08.15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0) 2017.08.14
꽃 이야기 - 수수꽃다리  (0) 2017.08.14
728x90
반응형

고마리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8~9월에 꽃이 피며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이며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린다. 10월에 열매가 성숙한다.

 

고만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들이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의 능선을 따라 가시가 나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에는 잎자루가 없다. 잎 모양은 서양 방패처럼 생겼으며 길이 4∼7cm, 나비 3∼7cm이다.

가운뎃잎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곁잎 갈래조각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진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에 잔 가시가 있다. 잎집은 길이 5∼8mm로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나고 작은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 꽃이 뭉쳐서 달린다. 꽃자루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로 10∼11월에 익는데

세모난 달걀 모양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3mm 정도이다. 꽃의 형태와 피는 시기, 잎의 생김새 등에 변이가 많으며 메밀과 비슷하다.

어린 풀은 먹고 줄기와 잎을 지혈제로 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헤이룽강 연안, 인도 아삼주 등지에 분포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송이풀  (0) 2017.08.15
배초향(排草香)  (0) 2017.08.15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0) 2017.08.14
꽃 이야기 - 수수꽃다리  (0) 2017.08.14
연 이야기 (펌)  (0) 2017.08.14
728x90
반응형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 학 명 : Smilax chine L.
다른이름 : 망개나무, 맹감나무, 명감나무, 종가시덩굴, 참열매덩굴, 매발톱가시(황해도)

약재이름 : 발계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낙엽 덩굴식물. 산지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굵고 딱딱한 뿌리줄기꾸불꾸불 옆으로

길게 벋어간다. 줄기는 마디마다 굽으면서 2m 내외로 자라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원형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두껍고 윤기가 난다. 잎자루는 짧고 턱잎이 칼집 모양으로 유착하며 끝이 덩굴손이다.  꽃은 단성화로 황록색이며

5월에 산형꽃차례 []를 이룬다. 꽃줄기는 길이 15∼30mm이고 작은꽃줄기는 길이 1 cm 정도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며

뒤로 말리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씨방은 긴 타원형으로서 3심이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1cm 정도이고 9~10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명감 또는 망개라고 한다. 열매는 식용하며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뿌리를 이뇨 ·해독 ·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관절염 ·요통 ·종기 등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가 곧고 가지가 많으며 잎이 작은 것을 좀청미래(var. microphylla)라고 한다.

산이나 들에 흔히 자라는 덩굴성 떨기 나무로 가을철에 빨갛게 익은 열매가 보기에 좋아 꽃꽃이 재료로 인기를 얻고도 있는데

잎은 넓은 달걀꼴로 윤이 반짝반짝 빛나고 줄기에는 가시와 덩굴손이 있다.꽃은 붉은 빛을 띤 녹색으로 크며 딱딱하고 봄이나

가을에 굵은 뿌리를 케내어 약으로 쓰는데 내한성,내음성,내건성,내조성이 강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산야에는 어디든지

잘 자라는 식물이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열매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약명은 토복령으로항암작용이 뛰어나며 수은 중독을

푸는 효능이 있어 갖가지 암치료에 널리 쓰인다. 위암,식도암, 직장암,유선암, 자궁암 등에 두루 효험이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의 약효에 대해서 (동의학 사전)에는 이렇게 적혀있다. 맛은 슴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간경에 작용한다.

뿌리를 잘게 썰어 말린것 20~30g 정도를 물1되를 붓고 그물이 반으로 줄어들때 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그물을 하루 세번정도 마신다.

옛날 중국의 어떤 사람이 부인 몰래 바람을 피우다가 매독에 걸려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아내는 남편이 미워서 산에 업어다

버리고 돌아왔다. 남편은 허기가 져서 산을 헤매다 청미래덩굴을 발견하고 그 뿌리를 부지런히 캐 먹었더니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매독이 다 나아 버렸다. 그는 건강한 몸이 되어 마을로 내려왔고 다시는 아내 몰래 못된 짓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래서 그 뒤부터 사람을 산에서 되돌아오게 했다고 해서 이 나무 이름을 산귀래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상당히 굵고 크다. 옛날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흉년이 들었을 때  구황식품로 흔히 먹었다.

녹말이 많이 들어 있어서 충분히 식량 대용으로 쓸 만하다.

신선이 남겨 놓은 음식이라 해서 선유랑(仙遺糧)이라고 부르고 넉넉한 요깃거리가 된다 하여 ‘우여량’이라는 이름도 있다.

뿌리를 캐서 잘게 썰어 2∼3일 동안 물에 담가 쓴맛을 뺀 다음 쌀이나 다른 곡식에 섞어서 밥을 지어 먹는다.

청미래덩굴 뿌리를 오랫동안 먹으면 변비가 생겨 고생하는 수 있는데 쌀뜨물과 같이 끓이면 그런 일이 없다고 한다.

옛날에 나라가 망하여 산으로 도망친 선비들이 청미래덩굴 뿌리를 양식으로 삼는 일이 흔했다 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성병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 <본초강목>에 요즈음 여자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 매독 같은 성병이 많이

유행하고 있다. 약을 써서 고친 뒤에 자주 재발하곤 하므로 오래 고생을 하게 되는데 이럴 때 청미래덩굴 뿌리를 쓰면

효과가 좋다고 적혔다. 매독뿐 아니라 임질, 태독, 악창 등에 두루 효과가 있다.

청미래덩굴 뿌리의 약효에 대해서 <동의학사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은 슴슴하고 성질은 평하다.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독을 푼다."
뼈마디가 아픈 데, 매독, 연주창, 헌데, 악창, 수은 중독 등에 쓴다. 하루 10∼15그램을 달인 약, 약술, 가루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청미래덩굴은 온갖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수은 중독을 푸는 데 특히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기나 신경통에 뿌리를

잘게 썰어 약한 불로 달여서 밥 먹기 전에 마시고 땀을 흠뻑 내면 거뜬하게 낫는다고 한다.

청미래덩굴은 땀을 잘 나게 하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백 가지 독을 푼다. 매독이나 종기, 악창, 만성피부염, 수은 중독으로 인한

피부염, 풍습성관절염, 신장염, 방광염, 소화가 잘되지 않고 설사가 날 때,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에 하루 10∼30그램을 달여 먹는다.
잘게 썰어 말린 것 15∼30그램을 물 1되쯤을 붓고 그물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그 물을 하루 3번 밥 먹기 30분전에 마시고

뜨거운 방에 홑이불을 덮고 누워 땀을 흠뻑 낸다. 그렇게 하면 몸 안에 있는 온갖 독이 몸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청미래덩굴 뿌리는 항암작용이 높아 갖가지 암에도 효력이 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초향(排草香)  (0) 2017.08.15
고마리  (0) 2017.08.15
꽃 이야기 - 수수꽃다리  (0) 2017.08.14
연 이야기 (펌)  (0) 2017.08.14
보리수 (菩提樹, Der Lindenbaum)  (0) 2017.08.14
728x90
반응형

수수꽃다리

 

원뿔 모양의 꽃차례에 달리는 꽃의 모양이 수수를 닮아 수수꽃 달리는 나무란 뜻의 '수수꽃다리' 라고 한다.

우리나라 황해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등 석회암지대에서 자라는 특산식물로 지금은 전국적으로 퍼져 잘 자란다.

우리나라 수수꽃다리를 유럽에서 가져다가 개량한 것을 20세기 초  역수입하여 라일락이라 하여 전국에서 조경용으로 심어 가꾸었다.

때문에 우리나라 특산의 수수꽃다리와 개량된 라일락을 정확하게 구분하기는 매우 힘들다. 라일락은 양수수꽃다리라고도 불리며

뿌리 부근에서 맹아지가 많고, 꽃도 좀더 촘촘히 피는 것으로 구분할 뿐이다.

 

4월 봄 밤이 되면 풍겨오는 수수꽃다리의 매혹적인 향기는 꽃말처럼 사랑에 설레이게 한다.

아이들과 '사랑점'을 미끼로 수수꽃다리의 아주 쓴 잎으로 장난을 하면, 영원히첫사랑의 맛을 잊지 못한다고 한다.

꽃 향기가 좋을 뿐 아니라 추위에 강하고 병충해, 공해 등에도 강해서 조경용으로 심는다. 한의학에서 '정향'은 수수꽃다리를 포함한

유사식물들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부른 이름으로, 비장과 위를 따뜻하게 하고 성기능 강화와 종기, 술독, 풍독을 없애는데 이용했다.

 

유사식물로 수수꽃다리와 가까운 혈족관계의 정향나무가 있는데 경상도와 전라도 이북에서 자란다.

개회나무(S. reticulata var. mandshurica)는 잎지는 중간 키나무로 원추꽃차레의 꽃이 전년지의 꼭대기에 핀다.

꽃개회나무(S. wolfi)는 6∼7월에 원추꽃차례의 꽃이 새가지에 달리고 잎 뒷면에 털이 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마리  (0) 2017.08.15
청미래 덩굴 (망개나무)  (0) 2017.08.14
연 이야기 (펌)  (0) 2017.08.14
보리수 (菩提樹, Der Lindenbaum)  (0) 2017.08.14
접시꽃  (0) 2017.08.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