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호가호위(狐假虎威- 狐 : 여우 호 .假 : 빌리다 가 . 虎 : 범 호. 威 : 위엄 위 )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리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려 허세를 부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한(前漢) 시대의 유향(劉向)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기원전 4세기 초, 초(楚)나라 선왕(宣王) 때의 일이다. 하루는 선왕이 신하들에게

"듣자하니, 위나라를 비롯하여 북방의 여러 나라들이 우리 재상 소해휼(昭奚恤)을 두려워하고 있다는데 그게 사실이오?"

하고 물었다. 이때, 위나라 출신인 강을(江乙)이란 변사가 초나라 선왕 밑에서 벼슬을 하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왕족이자 명재상으로 명망 높은 소해휼이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그래서 강을은 이야말로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얼른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북방의 여러 나라들이 어찌 한 나라의 재상에 불과한 소해휼을 두려워하겠습니까?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번은 호랑이가 여우를 잡았습니다. 그러자 교활한 여우가 호랑이에게 말하기를

'나는 천제(天帝)의 명을 받고 내려온 사자(使者)다. 네가 나를 잡아먹으면 나를 백수의 왕으로 정하신

천제의 명을 어기는 것이니 천벌을 받게 될 거다. 만약 내 말이 믿기지 않는다면 내가 앞장설 테니 내 뒤를 따라와 봐라.

나를 보고 달아나지 않는 짐승은 하나도 없을 테니'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호랑이는 여우의 뒤를 따라갔습니다.

그랬더니 과연 여우의 말대로 만나는 짐승마다 모두 달아나기에 바빴습니다. 사실 짐승들을 달아나게 한 것은

여우 뒤에 따라오고 있던 호랑이었습니다. 그런데도 호랑이는 이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고 합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북방의 여러 나라들이 두려워하고 있는 것은 일개 재상에 불과한 소해휼이 아니라

그 뒤에 있는 초나라의 병력, 곧 임금님의 강한 군사력입니다."

 

이 고사에서 '호가호위(狐假虎威)'라는 말이 나왔으며, '가호위(假虎威)' '가호위호(假虎威狐)'라고도 한다.

오늘날 이 말은 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권위를 빌려 허세를 부리는 경우에 사용된다.

 

- 네이버 지식백과 - 호가호위(狐假虎威)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0) 2022.08.24
피카소의 황소 머리(Tete de taureau)  (0) 2022.08.12
아방가르드(avant-garde)  (0) 2022.06.30
💦바람의 종류  (0) 2022.06.28
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  (0) 2022.06.17
728x90
반응형

아방가르드는 프랑스어 avant-garde

 

기성의 예술 관념과 형식을 기피하고 혁신적인 예술을 주장하는 예술 운동.

입체파, 미래파, 초현실주의 등 20세기 초에 프랑스와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미국 등에서 일어난 예술 운동.

아방가르드는 군사용어로서 전쟁 시 본대에 앞서 적진의 선두나 적의 움직임 및 위치를 파악하는 척후병을 말한다.

그와 같이 예술계에서는 새로운 예술을 개척해 나가고 혁신적인 예술의 경향 또는 운동.

기존의 예술 및 기성화된 것을 부정하고 새롭게 벗어나는 바람이나 경향을 말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카소의 황소 머리(Tete de taureau)  (0) 2022.08.12
호가호위(狐假虎威)  (0) 2022.07.27
💦바람의 종류  (0) 2022.06.28
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  (0) 2022.06.17
퍼블리시티권(The Right of Publicity)  (0) 2022.06.07
728x90
반응형

💦바람의 종류

 

💦샛바람 :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동풍)

💦하늬바람 :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서풍)

💦마파람 :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남풍)

💦된바람 :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북풍)

💦높새바람 :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북동풍)

💦갈마바람 : 남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남서풍)

💦소소리바람 : 이른 봄에 살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차고 매서운 바람

💦소슬바람 : 가을에 외롭고 쓸쓸한 느낌을 주며 부는 으스스한 바람

💦살바람 : 초봄에 부는 찬 바람 또는 좁은 틈으로 새어 들어오는 찬 바람

💦색바람 : 이른 가을에 부는 선선한 바람

 

💦강바람 : 비는 내리지 않고 몹시 세게 부는 바람.

💦보라바람 : 높은 고원에서 갑자기 산 밑으로 불어내리는 차갑고 센 바람.

💦피죽바람 : 모낼 무렵 오랫동안 부는 아침 동풍과 저녁 북서풍.

💦황소바람 : 좁은 곳으로 가늘게 불어오지만 매우 춥게 느껴지는 바람.

💦꽃샘바람 :요약 봄철 꽃이 필 무렵에 부는 찬바람.

💦바람꽃 : 먼 산에 구름같이 끼는 보얀 기운.

 

💦가수알바람: ‘서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

💦간새: 동남풍.

💦강쇠바람: 초가을에 부는 동풍.

💦고추바람: 살을 에는 듯 독하게 부는 몹시 찬 바람.

💦꽁무니바람: 뒤에서 불어오는 바람.

💦날파람: ①빠르게 날아가는 서슬에 이는 바람. ②매우 재빠르고 날카로운 기세.

💦늦바람: 저녁 늦게 부는 바람. 빠르지 아니한 바람.

💦댑바람: 북쪽에서 부는 큰 바람.

💦덴바람: 뱃사공들이 ‘북풍’을 이르는 말.

💦도새: 주로 동해안에서 봄과 가을의 흐린 날씨에 부는, 안개 섞인 찬 바닷바람.

💦돌개바람: 태풍과 같이 휘돌면서 부는 바람, 또는 강한 회오리바람.

💦동부새: ‘동풍’을 농가에서 일컫는 말.

💦뒤바람: 북풍.

💦든바람: 동남풍.

💦마칼바람: ‘북서풍’의 옛말.

💦막새바람: 가을에 부는 신선한 바람.

💦명지바람: 보드랍고 화창한 바람.

💦색바람: 이른 가을에 부는 선선한 바람.

💦샛바람: ‘동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

💦서릿바람: 서리 내린 아침에 부는 바람.

💦손돌이바람: 음력 시월 스무날께 부는 몹시 추운 바람.

💦시마: ‘동남풍’을 뱃사람들이 이르는 말.

💦실바람: 솔솔 부는 봄바람.

💦아랫바람: 물 아래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연 날릴 때 동풍. *윗바람: 서풍.

💦왜바람: 이리저리 방향 없이 마구 부는 바람. ‘왜’는 큰 것을 나타내는 말.

💦재넘이: 산에서 재를 넘어 부는 바람. ‘높새’도 재넘이의 한 가지.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

○ 천하에 도리가 가득하다는 말

○ 桃(복숭아 도) 李(오얏 리) 滿(찰 만) 天(하늘 천) 下(아래 하)

 

복숭아와 오얏(자두)이 천하(天下)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우수(優秀)한 문하생(門下生)이 많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천하에 도리가 가득하다는 말로, 우수한 문하생이 도처에 자리 잡고 있다는 뜻

 

《자치통감(資治通鑑)》 당기(唐紀)에서 비롯된 말이다. 당(唐)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은 고종(高宗) 때

대리승(大理丞)이 되어 1년 동안 1만 7000명을 올바르게 재판하였다. 그 뒤 강남 순무사(江南巡撫使)가 되어서

음란하거나 민심을 미혹하는 사당 1,700개소를 없앴다. 또 예주 자사(豫州刺使)로 있을 때에는 무고한 죄로

사형을 선고받은 사람 2,000명을 구제해 사람들로부터 칭송을 들었다. 그러나 내준신(來俊臣)의 모함으로

측천무후(則天武后)에 의해 투옥되었다가 지방으로 좌천되었다. 후일 그의 평판이 높다는 말을 들은 측천무후는

다시 그를 재상으로 등용하였다. 재상이 된 후 그는 장간지(張柬之), 요승(姚乘) 등을 추천하여

부패한 정치를 바로잡으려 했는데, 이로써 측천무후의 신임을 얻었다.

 

어느 날 측천무후가 상서랑(尙書郞)으로 합당한 인물을 추천하라고 하자, 서슴없이 아들 광사(光嗣)를 추천하였다.

측천무후는 의혹의 눈길을 보냈지만, 아들이 일을 잘 처리하여 오히려 믿음을 사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가 추천한 인물들이 실권을 장악하게 되자 주위에서 적인걸에게 말하였다.

“천하의 도리가 모두 공의 문하에 있구료(桃李滿天下)."

정부의 실질적인 요직을 장악한 적인걸도 무씨 일족의 전횡에는 어쩔 수 없었다.

 

나라의 앞날을 걱정한 적인걸은 임종 시에 장간지 등을 불러 뒷일을 부탁했다.

그가 죽은 지 5년 후에, 장간지 등은 측천무후가 병든 틈을 이용하여 황실 주위의 간신배를 몰아냈다.

그리고 측천무후를 퇴위시킨 후 중종을 복위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도리만천하란 이와 같이 자기 사람이 중요한 요소마다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비유한 것인데,

후일에는 우수한 제자나 후배를 많이 배출한 사람을 가리키게까지 되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