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교토삼굴(狡兎三窟) - 교활할 교, 토끼 토, 석 삼, 굴 굴.

영리한 토끼는 굴을 세 개 파 놓는다는 뜻이다.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이중삼중의 대책을 마련한다는 의미다.

사기(史記) '맹상군 열전'(孟嘗君列傳)에서 유래했다.

전국시대 제(齊)나라 재상 맹상군은 인재를 모으는데 힘을 썼다. 사재를 털어 식객(食客)들을 후원했다.

관리하는 식객만 3000여명에 달했다. 맹상군은 귀천을 따지지 않고 그들을 후대했다.

그 중에 풍환(馮驩)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당시 맹상군은 설읍에 사는 주민들에게 돈놀이를 하고 있었다.

그 이자로 식객들을 부양하고 있었다. 어느날 맹상군은 풍환에게 설읍으로 가서 밀린 빚을 받아오게 했다.

풍환은 "빚을 받으면 그 돈으로 무엇을 사오면 될까요?"라고 물었다.

맹상군은 "여기에 부족한 것이라면 무엇이라도 사오라"고 답했다.

풍환은 설읍으로 가서 모든 차용증서를 모아 불태워 버렸다. 당연히 설읍 주민들은 뛸뜻이 기뻐했다.

반면 맹상군은 어이가 없었다. 불같이 화를 내는 맹상군에게 풍환은 이렇게 말했다.

"이 집에 부족한 것이 있다면 은혜(恩)와 의리(義)입니다. 그래서 은의(恩義)를 사왔을 뿐입니다."

얼마 후 맹상군은 새로 즉위한 제나라 민왕(泯王)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재상 자리에서 쫓겨났다.

그는 여러 곳을 헤매다 설읍에 도착했다. 그곳 백성들은 그를 따뜻이 환대했다.

그제서야 맹상군은 풍환의 깊은 뜻을 이해했다. 차용증서를 불태웠던 것은 바로 첫번째 굴이었던 것이다.

풍환은 "교활한 토끼는 굴을 세 개나 뚫습니다(狡兎有三窟)"라며 맹상군이 화를 입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그 후 풍환은 옆 나라인 위나라 혜왕(惠王)에게 찾아가 맹상군을 재상으로 맞으면 부국강병을 이룰 것이라고 설득하였다 혜왕은 곧 맹상군을

맞이하기 위해 황금 천금과 수레 백량을 세 번이나 보냈다. 하지만 맹상군은 풍환의 책략대로 위나라의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때 소문을 들은 제나라 민왕은 사신을 보내어 잘못을 사과하고 다시 재상으로 임명하였다.풍환이 맹상군을 위해 마련한 두 번째 굴이었다.

 

얼마 후 풍환은 설(薛) 땅에 제나라 선대의 종묘를 세우도록 맹산군에게 건의하였다. 선대의 종묘가 맹상군의 영지에 있기에

민왕도 그에게 함부로 대하지 못했다. 맹상군을 위해 마련한 세 번째 굴 이었다. 이리하여 맹상군은 재상에 머문 수십 년 동안

아무런 화도 입지 않을 수 있었는데, 풍환이 맹상군을 위해 세 가지의 숨을 굴(狡免三窟)을 마련해주었기 때문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정저지와(井底之蛙)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는 바다를 말해 줄 수 없다는 뜻으로, 중국 고사 장자에 나오는 말입니다.

 

내가 보는 세상이 가장 크고 알고 있는 세상이 가장 위대하고

뛰고 있는 시간이 가장 빠르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자신이 우물 속에서 보는 하늘이 전부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진짜 하늘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우물 속에 있는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하여 설명할 수가 없습니다.

그 개구리는 자신이 살고 있는 우물이라는 공간에 갇혀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 여름만 살다가는 여름 곤충에게는 찬 얼음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편협한 지식인에게는 진정한 도의 세계를 설명해 줄 수가 없습니다.

그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에 묶여있기 때문입니다.

 

장자는 이 고사를 통해 3가지의 집착과 한계를 파괴하라고 충고하고 있습니다.

 

1. 자신이 속해 있는 공간을 파괴하라.

2. 자신이 살아가는 시간을 파괴하라.

3.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파괴하라.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알아두면 일상에 도움이 되는 용어

 

1) 도플갱어(doppelganger)

나 자신과 똑같이 생긴 사람이나 동물 즉: 분신, 복제품

 

2)데자뷰(deja vu)

처음 해보는 일이나 장소 등이 낯설게 느껴지지 않고 예전에 한번 본 것처럼 느껴지는 느낌(기시감).

(예: 우리 어디서 만난 적이 없는가요?)

 

3)코스프레(costume play)

주인공처럼 의상을 '입고 분장'하여 그 주인공 흉내를 내는 놀이

 

4)데칼코마니(decalcomanie)

도자기나 기타 다른 물건에 판화 또는 미술 작품ㆍ을 옮기는 장식 기법(똑같은 모습)

 

5)버킷리스트(bucket list)

평생 한 번쯤 해보고 싶은 일 또는 죽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을 적은 목록

 

6)워너비(wannabe)

닮고 싶은 사람 또는 갖고 싶은 물건. 예: 배우, 인기가수, 스포츠카, 요트

 

7)벤치마킹(benchmarking)

특정 분야의 뛰어난 업체(사람)를 선정해서 자기 기업과 성과 차이를 비교하여 그들의 뛰어난

운영 프로세스를 배우면서 자기 혁신을 추구하는 경영 기법

 

8)빈티지(vintage)

일반적으로 낡은 스타일, 즉 옛것을 지칭하는 개념.

구식의 느낌이 나는 초라한 개성을 의미하지만, 오늘날에는 여유와 검소함을 강조하는 용어. (예: 골동품, 고가구)

 

9)아바타(avatar)

분신 또는 화신이란 뜻 인터넷 시대가 열리면서 3차원이나 가상 현실에서 자신을 나타내는 그래픽 아이콘

 

10)싱크로율(synchronization)

비교되는 대상이 똑같이 닮은 비율. (예: 저 아이는 엄마랑 붕어빵이라고 하면 싱크로율 100%)

 

11)버스킹(busking)

: 길거리 공연

 

12)커밍아웃(coming out)

처음에는 동성애자가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적으로 밝히는대서 출발.

자신의 정체를 밝히는 행위를 통칭.

 

13)팬덤(fandom)

특정 연예인에게 집착하거나 몰입하여 그 속에 빠져드는 사람(광신자)이나 무리를 뜻함.

최근에는 정치적 광신자들까지 지칭함.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토삼굴(狡兎三窟)  (0) 2023.01.03
정저지와(井底之蛙)  (0) 2023.01.01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0) 2022.10.12
노멘클라투라(nomenklatura)  (0) 2022.09.19
무재칠시(無材七施)  (0) 2022.09.06
728x90
반응형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쥐어짜기를 뜻하는 '스크루(screw)' '인플레이션(inflation)' 합쳐진 말이다.

스크루플레이션은 물가 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등으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어 발생한다.

중산층을 쥐어짜기 때문에 경기 회복기에도 이들이 적극적으로 소비하지 않아 경제가 제대로 살아날  없다.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어 체감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물가 상승, 임금 감소, 주택 가격 하락 등이 원인이 되며, 소비가 위축되어 경기가 살아나기 어렵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저지와(井底之蛙)  (0) 2023.01.01
알아두면 일상에 도움이 되는 용어  (0) 2022.11.21
노멘클라투라(nomenklatura)  (0) 2022.09.19
무재칠시(無材七施)  (0) 2022.09.06
비와 관련된 말  (0) 2022.09.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