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폭염에도 플라스틱 물병을 얼려 마시지 말아야 하는 이유

 

플라스틱 용기를 얼렸다 녹일 경우 높은 온도에서 가열할 때와 비슷한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물에 용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더운 여름철 플라스틱병에 물을 얼려서 마시는 것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중국 저장대, 미국 버지니아공대 등 연구진이 지난 2월 국제학술지 ‘유해물질 저널’에 게재한 논문을 보면 물이 든 플라스틱 용기를

영하의 온도에서 동결한 후 해동시킬 때 용출되는 미세플라스틱 등 유해물질의 양이 60도로 가열했을 때 나오는 양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은 보통 5㎜ 이하의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연구진은 두께 2.2㎜의 플라스틱 용기들에 초순수를 담아 각각 동결, 해동을 반복한 경우,

염소 소독을 한 경우, 가열한 경우 등과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경우로 나눠 비교했다. 실험에는 물 공급용 파이프 등에 쓰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일종인 PPR(polypropylene random) 소재가 사용됐다. 구체적으로 동결·해동을 반복한 플라스틱 용기 내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하루에 70~220여개

정도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나왔다. 가열했을 때는 하루에 70~130여개 정도, 염소 소독을 했을 때는 60~160여개 정도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용출됐다.

반면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경우에 나온 미세플라스틱 입자 수는 3~66개 정도로 나타났다. 동결·해동 반복, 가열 처리, 염소 소독을 실시한 경우

용출되는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크기는 대체로 4~9㎛ 정도인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플라스틱은 주로 물리적 과정과 화학 반응에 의해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될 수 있다”면서 “미세플라스틱은 세포독성, 산화 스트레스 유발 등 건강에 잠재적인 위험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여름철 플라스틱병에 물을 얼려마시는 방식에 대한 경종을 울릴 필요가 있으며 안전한 음용 방법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독고석 단국대 토목환경공학화 교수는 지난달 31일 먹는물네트워크가 대한환경공학회와 공동으로 주최한 ‘생수와

미세플라스틱 : 안전한 먹는물을 위한 공동노력’이라는 주제의 먹는물 정책 포럼에서 “이 연구결과는 여름철 많은 이들이 먹는샘물 등을 얼려서 갖고

다니며 마시는 것은 많은 양의 플라스틱을 직접 음용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먹는샘물 등을

대상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출처

당신이 폭염에도 플라스틱 물병을 얼려 마시지 말아야 하는 이유 - 경향신문 (khan.co.kr)

 

당신이 폭염에도 플라스틱 물병을 얼려 마시지 말아야 하는 이유

플라스틱 용기를 얼렸다 녹일 경우 높은 온도에서 가열할 때와 비슷한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물에 용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더운 여름철 플라스틱병에 물을 얼려서 마시는 것에...

www.khan.co.kr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살 빼려고 먹은 '제로 슈거' 식품들 알고 보니

칼로리가 거의 없는 ‘제로 슈거’(무설탕) 식품에 설탕 대신 사용하는 인공감미료인 ‘에리스리톨’이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는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9일(현지시간) CNN은 '동맥경화, 혈전증 및 혈관 생물학' 저널에 최근 발표된 연구 결과를 보도했다. 에리트리톨은 당류에서 유래한 화합물인

당알코올의 한 종류다. 설탕의 약 70%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없는 수준으로 간주돼 저탄수화물 키토 제품 등에 주로 쓰인다.

실험 대상은 전날 밤 금식을 한 건강한 사람 20명이었다. 연구진은 10명에게 에리트리톨 30g이 들어간 음료를, 나머지 10명에겐 설탕 30g이

포함된 음료를 제공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연구에 사용된 에리트리톨 30g은 일반적인 무설탕 소다, 아이스크림 또는 머핀에 함유된 양과 같았다.
30분 후 각 그룹의 혈액을 채취하자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에리트리톨이 들어간 음료를 마신 사람들은 혈중 에리트리톨 수치가 1000배 상승했고,

설탕 음료를 마신 집단은 혈당 수치가 약간만 올라갔다. 심지어 에리트리톨 섭취 후엔 혈소판 응고 위험이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번 연구 책임자인

스탠리 헤이젠 박사는 "놀라운 점은 모든 피험자가 에리트리톨 섭취 후 혈소판 응고의 모든 측정치가 상승했다는 것"이라며

"(반면) 설탕 음료를 마신 10명은 혈소판에 영향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연구 공동 저자 와이 홍 윌슨 탕 박사는

"음식이나 음료에 들어가는 에리트리톨의 표준양으로도 갑자기 혈전이 형성된다는 사실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비슷한 연구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지난해 스탠리 헤이젠 박사가 연구에 자원한 8명을 대상으로 같은 양의 에리트리톨을

섭취하게 한 결과 혈중 에리트리톨 수치가 1000배나 급증했다. 에리트리톨 수치는 곧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 발생 가능성과도 비례했다.

4000명이 넘는 영미권 사람들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에리트리톨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심장마비 혹은 뇌졸중을 경험할 가능성이 두 배 정도 높아졌다.

헤이젠 박사는 "에리트리톨의 경우 혈소판 응고를 쉽게 만든다. 해당 감미료가 10%만 있어도 혈전이 90~100% 수준으로 형성된다"며

"중년의 미국인들은 평균적으로 심장질환에 걸릴 수 있는 위험 요소를 2~3개씩 갖고 있는데, 우리 중 70%도 심장병에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있으므로

모두가 (해당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기존에 심장 질환을 앓았거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의 경우 에리트리톨이 들어간

식품을 먹는 것보다 차라리 소량의 설탕이 포함된 간식을 가끔 먹는 것이 나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칼로리 조절 협의회 회장인 칼라 손더스는 CNN에 에리트리톨이 30년간 입증된 안전한 감미료라며,

연구 참가자가 적었던 점과 연구에 사용된 음료에 과도하게 많은 양의 에리트리톨이 들어간 점 등을 지적했다.

 

출처

"믿었는데 배신당했다"…살 빼려고 먹은 '제로 슈거' 식품들 알고 보니 (naver.com)

 

"믿었는데 배신당했다"…살 빼려고 먹은 '제로 슈거' 식품들 알고 보니

칼로리가 거의 없는 ‘제로 슈거’(무설탕) 식품에 설탕 대신 사용하는 인공감미료인 ‘에리스리톨’이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9일(현지시간) CNN은 '동맥

n.news.naver.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코로나19와 냉방병 - 고열 동반·증상 지속 여부로 구분

 

국내 코로나19 환자가 다시 늘고 있다.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KP.3’ 국내 검출률이 높아지면서다.

연일 이어지는 폭염 탓에 냉방기 사용이 늘면서 냉방병을 호소하는 사람도 많아져 코로나19와 냉방병 증상을 구분하지 못하는 사례도 많다.

최준용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2일 “냉방병은 춥고 밀폐된 공간에 오래 머무를 때 나타나는 여러 신체 증상을 통틀어 말한다”며

“냉방병 증상은 코로나19 초기 증상과 매우 비슷하다”라고 했다. 두 질환의 공통 초기 증상은 콧물,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증상, 소화불량, 피로감, 권태 등이다.


에어컨 등 냉방기를 장시간 틀어놓으면 열을 얻기 위해 으슬으슬 춥거나 떨리는 증상을 호소한다. 두통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냉방병이 생기는 이유다. 에어컨 바람에 오랜 시간 노출된 뒤 이런 감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몸을 따뜻하게 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만약 근육통, 기침, 37.5도 이상의 발열까지 더해져 증상이 낫지 않는다면 코로나19나 레지오넬라균 감염일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는 고열과 함께 심한 근육통, 인후통, 호흡곤란 등이 함께 발생한다.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후각·미각 상실처럼

코로나19 고유 증상이 나타난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냉방병은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에어컨 필터는 최소 2주에 한 번씩 청소하고 세척 후에는 햇빛에 충분히 말려야 한다.

2시간 간격으로 5분 이상 환기하고 냉방기 사용 시 실내온도를 25~26도로 유지해야 한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선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 중증 위험이 있는 고령층이나 기저질환자라면

사람 많은 곳을 방문할 때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코로나19 백신 효과는 6개월이 지나면 감소한다. 65세 이상 고령층과 12세~64세 면역저하자,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등 고위험군은

코로나19 백신을 매년 맞아야 한다.

 

- 최준용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교수

반응형
728x90
반응형

코스피 최악의 날…상장사 957개 중 17개 빼고 전부 하락

 

우리 증시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4년 5개월 만에 ‘최악의 날’을 맞았다. 장중 8%나 급락하며 2400대 중반까지 떨어진 것이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들은 단 17개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며 투자 심리도 최악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으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957개 중 919개에 ‘파란 불’이 들어왔다. 21개사가 이미 거래 정지 상태였다는 점을

제외하면, 17개 회사만 빼고 모든 상장사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2시 14분 코스피 서킷브레이커를 발동해 20분 간 거래를

중단해둔 상태다. 시가총액 1위 종목 삼성전자와 2위 SK하이닉스가 나란히 9%대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9.55% 내린

7만2000원에서 거래가 중지된 상태이며, SK하이닉스는 9.58% 내린 15만6600원에서 거래가 멈췄다. 그 외에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셀트리온, 기아 등 시총 상위 종목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이 시각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16.38포인트(8.09%) 내린 2459.81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지수가 하루 만에 8% 넘게 하락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됐던 지난 2020년 3월 19일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코스닥지수는 9.5%대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전 거래일 대비 74.01포인트(9.5%) 내린 705.32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했다.

이날 우리 증시가 급락한 것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달 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하면서도 9월 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고용지표가 부정적으로 나오면서 경기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 2일 발표된 미국의 7월 고용보고서에서 실업률이 4.3%를 기록하며 3년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 고용지표 부진이

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미국의 7월 구매자관리지수(PMI)도 46.8를 기록하며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인 48.8에 못 미쳤다.

특히 PMI 하위 지수인 고용지수가 43.4로 전월 대비 5.9포인트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직후인 2020년 6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출처

코스피 최악의 날…상장사 957개 중 17개 빼고 전부 하락 (chosun.com)

 

코스피 최악의 날…상장사 957개 중 17개 빼고 전부 하락

코스피 최악의 날상장사 957개 중 17개 빼고 전부 하락

www.chosun.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