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수박씨'…"볶아 먹으면 '이 병'에 효과" 깜짝 연구결과

비타민B·E, 칼슘, 무기질 등 풍부. 성장 발달, 성인병 예방, 노폐물 배출 효과 등

 

여름철 인기과일 수박을 먹을 때 수박씨를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잘 활용하면 성장 발달, 성인병 예방,

노폐물 배출 효과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수박씨에 담긴 각종 비타민, 칼슘, 무기질 등은 성장 발육에 도움을 준다.

특히 비타민B는 성장 촉진뿐만 아니라 탄수화물의 소화를 도우며 다양한 대사기능에 관여해 체내의 에너지 전환에 도움을 주고 면역력을 높인다.
또 비타민E는 리놀렌산과 더불어 동맥경화를 예방해 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 수박씨의 쓴맛을 내는 쿠쿠르비타신 성분은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해 노화 방지와 암 예방에 좋다. 또 노폐물을 배출해 혈액을 맑게 하고, 여드름 같은 피부질환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단백질과 지질 역시 풍부하다. 지질은 세포와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재료, 담즙의 원료가 되므로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지질은 몸속에서 호르몬 합성에 쓰이거나 뇌 발달 및 유지 등 여러 과정에 쓰인다.

수박씨의 효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수박씨 4g을 섭취하면 마그네슘 일일 섭취량의 21%인 5㎎의 마그네슘을 섭취할 수 있다.

다만 소화력이 좋지 않은 사람은 수박씨를 날로 먹거나 씹지 않고 그대로 삼키면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식약처는 “소화력이 좋지 않은 경우라면, 수박씨를 잘 씻어 물기를 제거한 뒤 마른 팬에 바삭하게 충분히 볶아 먹으면 된다”고 말했다.

수박의 과육과 씨를 함께 갈아 주스로 만드는 것도 방법이다.
그러나 모든 과일 씨앗이 수박씨처럼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살구, 복숭아, 매실, 사과와 같은 씨앗에는 시안배당체 함량이 높기 때문에

식품으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시안배당체 자체는 유해하지 않지만, 효소에 의해 분해돼 생성된 시안화수소는 신체에 유독하다.
시안화수소를 한두 번 먹는 건 지장이 없으나, 지속해서 노출되면 두통이나 현기증, 불안, 구토가 생길 수 있다.

심하면 혈압이 오르고 심장박동에도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노화 늦추고 발암물질-노폐물 배출... 장 청소-기능 개선

복숭아는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이 많아 몸의 산화(손상)을 줄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을 억제한다.
몸에 나쁜 활성산소를 줄여 노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복숭아는 자두, 매실, 살구, 체리와 함께 장미 과(Rosaceae) 자두나무 속(Prunus)에
속하는 온대 낙엽 과수이다. 과실 표면의 털을 기준으로 털이 있는 털복숭아(peach)와 털이 없는 복숭아인 천도(天桃, nectarine)로 나뉜다.
품종 별로 맛이 다양하여 개인의 식성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씨앗까지 먹다간 사망 위험 ↑

복숭아 잘 고르는 법은?... 백도, 미백, 황도, 천도의 차이는?
복숭아는 꼭지 반대쪽으로 갈수록 당도가 높다. 가장 인기 있는 품종은 '백도'다.
껍질이 흰색에서 선홍색으로 물들고 과육은 흰색이며 당도가 높다. 완전히 익으면 과즙이 많다. 백도 중 '미백'은 자극성이 낮아 치아가
부실한 사람에게 부담이 없다. '황도'는 껍질과 과육이 황색이며 씨는 붉은색이다. 단단한 육질로 통조림 등 가공용으로 많이 쓰인다.
'천도'는 백도·황도와 달리 잔털이 없다. 붉은색이 많이 섞여 있고 과육이 단단한 품종이 많다. 신맛과 단맛이 잘 조화되고 향기가 좋다.

노화 늦추고 발암물질-노폐물 배출... 장 청소-기능 개선
복숭아는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이 많아 몸의 산화(손상)을 줄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을 억제한다.
몸에 나쁜 활성산소를 줄여 노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천연 알칼리 성분이 많아 몸속 노폐물과 독소 배출에 기여한다. 신맛을 내는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등은 몸에 쌓인 니코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인 펙틴 성분이 풍부해 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준다.

피부 건강에 특히 좋아... 타닌, 마그네슘의 역할은?
복숭아는 여름 과일답게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된다. 국립농업과학원에 따르면 타닌과 마그네슘 성분이 피부의 탄력과 모공 수축에 기여한다.
풍부한 수분과 비타민도 피부 보호에 좋다.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어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
복숭아는 비타민 A, 유기산, 당분이 많아 피로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레몬, 딸기, 키위와 같이 먹으면 건강효과 더 높은 이유가?
복숭아를 보관할 때 가장 이상적인 온도는 8~13℃(황도 3~5℃, 백도 8~10℃)다.
이때 아삭함과 단맛, 과즙 상태가 가장 좋다. 냉장실에서 보관해야 단맛이 잘 느껴지나 0℃보다 낮으면 단맛이 약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냉장고에서 낮은 온도로 장기간 보관할 경우 맛이 떨어지므로 구입 후 1~2일 이내에 먹는 것이 좋다.
복숭아의 카테킨 성분에 비타민 C와 E가 더해지면 건강 효과가 높아진다. 레몬, 딸기, 키위와 같이 비타민 C가 많은 과일과 함께 섞어서 먹으면 더욱 좋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냉동피자에서 기준치 초과 대장균 검출..."교환·환불"

 

저렴하고 조리가 간편해 인기인 냉동 피자 일부 제품에서 대장균이 검출돼 주의가 필요.
한국소비자원이 냉동피자 14개 제품을 시험 평가한 결과, 애슐리 '크런치즈엣지 올더미트 피자'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장균이 검출됐다.
판매업체인 이랜드팜앤푸드는 소비자원 시정권고에 따라 제품을 교환하거나 환불 조치하고, 위생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피코크의 '잭슨피자 시카고 페퍼로니'가 치즈량이 214g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에 따라 포화지방 함량도 가장 높았다.
지방이 가장 낮은 제품은 신세계푸드의 '올바르고 반듯한 콤비네이션 팬피자'로, 피코크 제품과 치즈량이 3.3배 차이 났다.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제품은 청정원 '오리지널 콤비네이션 피자'였고, 가장 낮은 제품은 리스토란테의 '모짜렐라 피자'였다.
소비자원은 조사대상 14개 가운데 3개 제품이 영양성분 표시와 실제 함량에 차이가 있다며 개선을 권고했다.

이밖에 제품별 가격은 150g 기준으로 최대 2.6배 차이가 났다. '노브랜드 콤비네이션 한 끼 피자'가 1천616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고메 페퍼로니 토마토 시카고 피자'가 4천223원으로 가장 비쌌다.

 

안전성 시험 결과, 1개 제품이 대장균 기준에 부적합. ㈜이랜드팜앤푸드는 한국소비자원의 시정권고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한 교환ㆍ환불조치 및 위생관리 강화 계획을 회신했다.

이번 시험 결과의 세부 내용은 소비자24(www.consumer.go.kr) 내 '비교공감'란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비교해 보기 https://www.consumer.go.k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리 애 선글라스는 괜찮나"....86개 제품 리콜

 

↑ 표시보다 부력이 부족해 리콜 대상 된 부력조끼 / 사진=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산업통상자원부가 여름철 맞이 조사를 진행한 결과 부력이 부족한 구명조끼, 납 성분이 기준치를 넘은 어린이 선글라스 등이 다수 발견됐다.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최근 4개월간 여름철 사용이 많은 1천35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86개 제품에서 기능 부족, 유해 물질 검출 등의

문제가 발견돼 리콜 명령을 내렸다고 오늘(27일) 밝혔다. 어린이 제품 중에서는 납이 기준치를 초과한 선글라스 제품,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를 초과한 양우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를 넘은 폼 재질의 어린이 야구 배트 등에서 문제가 발견됐다.
생활용품 중에서는 제품에 표시된 부력값보다 실제 부력값이 낮은 부력 보조복과 스포츠용 구명복 등이 발견돼 리콜 명령 대상이 됐다.

전기용품 중에서는 감전 보호 기능에 문제가 있어 감전 우려가 있는 전기 벌레 잡기 기계 등이 리콜 명령 목록에 올랐다.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go.kr)와 소비자24(www.consumer.go.kr)에서 리콜 대상이 된 제품들의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전체 조사 대상 제품 중 80% 이상을 온라인에서 구매해 조사했고, 온라인 구매 제품의 리콜 비중이 전체 리콜 제품 86개 중 83개로

97%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향후 온라인 시장 판매 상품의 안전성 조사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국가기술표준원은 최근

우려가 증가하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해외 직구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조사를 진행 중이라면서 조사가 끝나는 대로 결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