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여름철 ‘식초’ 놀라운 효능

 

◆ 냉면에 식초, 맛도 좋고 살균 효과

냉면도 마찬가지로 오이, 식초, 얼음을 첨가해 시원하게 먹으면 한여름 무더위를 이겨내는데 도움이 된다.

식초의 신맛은 냉면의 맛을 올려주고 살균 효과가 있어서, 냉면 육수에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대장균을 감소시킨다.

 

◆ 식초 유기산의 피로 회복 효과

식초에 들어있는 아미노산, 구연산 등의 다양한 유기산은 피로를 풀어주기 때문에 쉽게 지치고 무기력해지는

여름철에 섭취하면 좋다. 톡 쏘는 새콤한 맛으로 입맛을 돋우어 기운을 되살려주는 효능도 뛰어나다.

 

◆ 오이냉국에 식초, 갈증 해소와 수분 보충

식초가 들어간 대표적인 여름 음식으로는 오이냉국이 있다. 오이냉국에 들어있는 오이는 여름 갈증을 해소해주고

몸에 부족한 수분을 채워준다. 낮은 열량에 비해 높은 포만감을 주므로 여름철 살찔 걱정을 줄이고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얼음을 동동 띄우고 식초를 첨가하면 시원한 여름철 음식이 된다.

 

◆ 김밥에 식초 간, 상하는 것 지연

여름철 나들이 갈 때 싸가는 김밥에도 식초를 넣고 간을 하면, 더운 야외에서 김밥이 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포도와 와인을 숙성시켜 만든 발사믹식초를 과일이나 샐러드에 뿌리면, 역시 새콤달콤하면서도 음식이 상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 노폐물 배출, 다이어트 효

식초는 이뇨작용을 통해 몸속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지방 축적을 막아서 다이어트가 필요한 여성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여름 다이어트를 계획한다면, 천연 식초를 활용해보자.

 

◆ 여름철 흔한 식중독 예방

날씨가 무더우면 장내에 세균이 침투해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식초의 유기산이 장내 유해균들의 제거를 도와 설사, 장염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혈액순환 촉진, 피부 건강 효과

식초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 피부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또 음식에 식초를 넣으면 시큼하면서도 시원한 맛을 주기 때문에 입맛이 떨어지는 여름에 제격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얼룩 잘 빠지는 세탁 세제 BEST3

반응형
728x90
반응형

모기 물렸을 때…의외로 도움되는 것들?

꿀, 베이킹 소다, 바질 등 5가지 민간요법

 

모기에게 쏘이면 가렵고 붓는 이유는 뭘까. 모기는 히루딘(hirudin)이란 물질을 인체에 주입한다.

혈액 응고를 막기 위해서다. 히루딘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다.

히스타민이 분비되고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 어떤 민간요법이 있는지 미국 건강·의료 매체 '헬스라인(Healthline)' 자료를 토대로 정리했다.

식초=모기는 식초 냄새를 싫어한다. 즉, 식초 섞은 물을 옷에 뿌리면 모기를 막을 수 있다.

모기의 공격을 받아도 식초는 유용하다. 물린 부위에 식초를 한 방울 떨어뜨리면 소독이 되는 건 물론 가렵고 따가운 느낌을 가라앉힐 수 있다.

양파=양파를 짜서 즙을 낸다. 모기 물린 곳에 살짝 바른다. 가렵고 따가운 느낌이 가라앉는다.

양파에는 균이나 곰팡이를 죽이는 성질이 있다. 즉, 감염 위험도 줄일 수 있다. 양파를 얇게 썰어 모기 물린 곳에 붙이는 것도 방법이다.

단, 시간은 짧게. 양파를 댔다가 떼어낸 자리는 물로 잘 씻어야 한다.

베이킹 소다=빵을 굽는 데 쓰이는 재료인 베이킹 소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모기에 물렸을 때도 도움이 된다.

베이킹 소다 1큰술을 물에 섞어 반죽을 만든다. 물린 부위에 붙인다. 10분 동안 두었다가 씻어낸다.

단, 베이킹 소다 반죽을 붙였다가 살이 붓거나 붉어지는 등 부작용을 겪었다면 이 방법은 다시 쓰지 말아야 한다.

=목이 부었을 때, 피부가 건조할 때, 민간 요법에서는 꿀을 사용한다. 꿀에 항균, 항염증 성분이 있기 때문이다.

모기에 물렸을 때도 꿀이 좋다. 물린 자리에 한 방울 떨어뜨리면 염증을 줄이는 건 물론, 끈적한 느낌 때문에 덜 긁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바질=항산화 성분이 풍부해서 염증을 줄이고 감염을 막는다. 신선한 바질 잎을 잘게 다져서 물린 부위를 문지를 것.

물 2컵에 말린 바질 잎 15g 비율로 차를 끓여서 식힌 다음 수건에 적셔 문질러도 된다. 바질 외에 레몬 밤, 타임,

페퍼민트 등의 허브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올바른 걷기 자세

 

▷머리=걸을 때 시선은 전방 10~15m에 두고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스마트폰을 하면서 걸으면 나도 모르게 고개를 숙이게 돼 삼가는 게 좋다. 고개를 숙이고 걸으면 목과 어깨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턱은 가슴 쪽으로 살짝 당기고 머리는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숨을 쉴 땐 코로 들이마신 뒤 입으로 내쉰다.

▷등·허리=옆모습을 거울에 비춰보았을 때 엉덩이에서 등으로 이어지는 허리 곡선이 C자가 되도록 한다.

가슴을 내밀고 어깨를 쫙 편 채로 걷는다. 어깨를 편다고 무리하게 힘을 주면 승모근이 긴장해 통증이 생길 수 있어

적당히 힘을 줘야 한다. 배를 내밀고 걷는 행위도 피해야 한다. 배를 내밀고 걸으면 허리뼈 뒷부분에 압력이

가해져 척추가 앞쪽으로 굽는 ‘척추전만증’이 생길 수 있다.

▷팔=걸을 때 팔은 앞뒤로 흔들면서 걸어야 몸이 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걸음을 내딛으려 한쪽 다리를 앞으로 뻗으면 다리와 연결된 골반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몸이 같이 흔들리게 된다.

이때 팔과 다리가 함께 움직이면 회전력이 상쇄돼 몸이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발걸음=걸을 때 발은 약간 벌어진 11자 모양으로 만든다.

발이 땅에 닿을 때는 ‘발뒤꿈치 → 발바닥 중앙 → 발가락’ 순서로 누르듯이 걸어야 한다. 뒤꿈치가 땅에 닿을 때는

한가운데가 닿도록 한다. 발끝이 안쪽으로 모이는 안짱걸음이나 발끝이 벌어지는 팔자걸음으로 걷는 것은 피한다.

안짱걸음으로 걸으면 무릎 안쪽에, 팔자걸음으로 걸으면 무릎 바깥쪽에 무리를 준다.

힘을 주면서 일자걸음으로 걷는 것도 좋지 않다. 하중이 다리 안쪽으로 많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보폭 10cm 넓히면 건강에 도움

걸을 때 보폭을 10cm 정도 넓히면 더 많은 근육을 자극할 수 있어 건강에 좋다.

보폭이 좁으면 하복근으로 발목만 들었다가 내려도 걸을 수 있지만, 보폭이 넓어지면 허벅지와 골반 안정화 근육까지

사용할 수 있다. 보폭을 크게 해서 걸으면 학습력, 기억력, 언어능력 등 인지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보통 걸음으로 걸을 때보다 보폭을 10cm 넓혔을 때 뇌 혈류가 증가하고 산소 포화도가 높아진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이 덕에 뇌에 영양소가 원활하게 전달되면서 뇌가 활성화되고, 인지 기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