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헌재,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87일 만에 대통령 권한대행 복귀

 

 

한덕수 국무총리가 24일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복귀한다. 지난해 12월 27일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된 이후 87일 만이다.

이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으로 탄핵소추되거나 형사재판에 넘겨진 공직자 중 처음으로 내려진 사법 판단이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한 총리 탄핵심판 사건 선고 공판에서 탄핵소추안을 기각한다고 밝혔다.

 

'한덕수 탄핵' 기각 5·인용 1·각하 2…재판관 의견 갈렸다.

헌재는 24일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한 총리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열고

기각 5(재판관 문형배·이미선·김형두·정정미·김복형), 각하 2(정형식·조한창), 인용 1(정계선) 의견으로 기각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 대신 국가원수 자격으로 즉시 직무를 재개한다.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공모·묵인·방조 △국회 추천 헌법재판관 후보자 3명 임명 거부 △‘김건희 여사·해병대원 순직 사건’

특검법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 △내란 상설특검 임명 불이행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공동 국정 운영 체제 구상 등 5가지 사유로 탄핵 심판에 넘겨졌다.

 

한 총리 탄핵은 지난해 12월 14일 국회의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로 한 총리가 국정을 대리 수행하게 된 지 약 2주 만에 이뤄졌다.

역대 최장수 총리인 한 총리의 취임일 2022년 5월 21일 기준 952일째 되는 날이었다.

한 총리 탄핵안 기각으로 3개월여 이어진 사상 첫 ‘권한대행의 권한대행’ 체제가 막을 내리게 됐다.

한 총리 탄핵안이 헌재로 향한 뒤 업무가 정지되면서 그동안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체제가 이어져 왔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전국 곳곳 산불로 울산·경북·경남에 재난사태 선포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울산과 경북, 경남에 재난사태를 선포했고, 산불 진화 중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남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산림청은 현재 경남 산청군 시천면과 경북 의성군 안평면, 울산 울주군 온양읍에서 발생한 산불에 대해 '산불 3단계'를 발령해 대응하고 있고,

경남 김해시 한림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산불 2단계'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산불 확산 대응 단계가 내려진 산불은 모두 4건이며, 이 가운데 경남 산청 산불의 경우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치는 등 진화 과정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해가 뜨면서 진화 헬기가 다시 투입되기 시작했고, 산림 당국은 바람이 약한 오전에 큰 불길을 잡겠다는 계획입니다.
투입된 헬기는 경북 의성에 59대, 경남 산청에 36대, 울산 울주에 12대 등입니다.

 

경북 의성군 안평면 산불은 현재 산불 영향 구역이 6,861ha로 추정되며, 진화율은 65%입니다.

또, 경남 산청군 시천면 산불은 영향 구역 1,464ha, 진화율은 70%이고, 울산 울주군 온양읍 산불은 영향 구역 278ha, 

진화율은 69%, 경남 김해시 한림면 산불은 영향 구역 90ha, 진화율은 96%에 이르고 있습니다.

산림 당국은 경북 의성 산불의 경우 성묘객의 실화를 원인으로 보고 있고, 경남 김해 산불은 묘지 주변 쓰레기 소각 중 발화된 것으로

추정하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출처

전국 곳곳 산불로 울산·경북·경남에 재난사태 선포 (naver.com)

 

전국 곳곳 산불로 울산·경북·경남에 재난사태 선포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울산과 경북, 경남에 재난사태를 선포했고, 산불 진화 중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경남 산청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산림청은 현재 경

n.news.naver.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 채소’는 잘게 채 썰어 드세요… 숭덩숭덩 썰 때보다 “항산화 능력 쑥”

양상추는 채 썰어 먹으면 폴리페놀 함량이 81%, 항산화 능력이 442% 증가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몸에 들어가는 음식은 다 똑같은 것 같아도, 사실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영양소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특정 채소들은 잘게 채를 썰어 먹으면 건강에 더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떤 게 있을까?

▶양상추=식품과학분야 학술지 푸드케미스트리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양상추는 채 썰어 먹으면 폴리페놀 함량이 81%, 항산화 능력이 442% 증가한다.
폴리페놀과 항산화 물질은 세포를 보호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해 면역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양상추는 생으로 먹는 것도 좋지만, 익힌 후 채
썰어 먹으면 건강 효과가 강해진다. 95%가 수분인 양상추는 2~3분만 쪄도 부피가 줄어든다. 2배 이상의 양을 먹을 수 있어 식이섬유와
비타민을 많이 섭취할 수 있다. 심 주위의 쓴맛도 익히면 단맛으로 변한다. 기름에 볶으면 베타카로틴과 비타민E도 섭취할 수 있다.

▶당근=채 썬 당근은 썰기 전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191%, 항산화 능력은 77% 증가한다.
다만, 당근은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영양소를 보내며 자라기 때문에, 껍질에 베타카로틴이 2.5배 더 많다.
껍질과 중심부를 함께 먹어야 당근의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근을 채 썰 때는 먼저 가로로 원형 썰기를 한 썬 뒤
채 써는 것이 좋다. 깍둑썰기나 길게 썰기를 하면 누구는 당근의 안쪽만, 누구는 바깥쪽만 먹게 될 가능성이 있다.
안과 밖을 골고루 모두 섭취하는 게 좋다. 또한, 당근은 익혀 먹으면 베타카로틴 흡수량이 60%로 높아진다.

▶셀러리=셀러리를 채 썰면 폴리페놀 함량이 30% 늘고, 항산화 능력도 233%로 증가한다.
셀러리는 눈에 수분을 공급하고 각막을 보호하는 비타민A, 면역력을 향상하는 비타민 B1·B2·C, 카로틴, 철분이 풍부하다.
특히 칼륨이 많이 들어 있어 피를 맑게 하며, 이뇨 작용에도 도움이 된다. 멜라토닌도 많아 불면증을 해소한다.
셀러리는 주로 줄기 쪽을 사용하며 잎은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잎에 영양 성분이 더 많다. 잘게 썰어 볶음 요리에 사용하면
비타민 A를 다량 섭취할 수 있다. 셀러리는 강한 향 때문에 거부하는 사람이 많다. 마요네즈나 후추를 뿌려 먹으면 완화할 수 있다.
다만, 너무 많은 마요네즈는 열량이 높아질 수 있어 주의한다.
출처

‘이 채소’는 잘게 채 썰어 드세요… 숭덩숭덩 썰 때보다 “항산화 능력 쑥” (naver.com)

 

‘이 채소’는 잘게 채 썰어 드세요… 숭덩숭덩 썰 때보다 “항산화 능력 쑥”

몸에 들어가는 음식은 다 똑같은 것 같아도, 사실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영양소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특정 채소들은 잘게 채를 썰어 먹으면 건강에 더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떤 게 있을까?

n.news.naver.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확실한' 발암물질 매일 먹는 사람들 “왜 이리 많아”...최악의 식습관은?

고기 타는 연기에 담배 연기까지...간접흡연도 '확실한' 발암물질

 

가공육(햄-소시지-베이컨 등)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분류한 1군(group 1) 발암물질이다. 태우면 더 위험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이 가끔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설탕 대체 식품이다. 한때 발암물질 논란으로 떠들썩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23년 아스파탐을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했다.

'확실한' 발암물질인 1군(Group 1)보다 낮은 단계이다. 그래도 조심해야 한다. '확실한' 발암물질인데도 일상에서 마음껏 먹는 식품은 무엇일까?

초미세먼지 매일 난리인데 "왜 마스크 안 써요?"...담배와 같은 1군 발암물질

최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늘이 뿌옇게 보일 정도로 심하다. 그런데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

미세먼지는 '확실한' 발암물질인 1군(Group 1)에 포함되어 있다. 평생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들이 폐암에 걸리는 것은 미세먼지도 큰 영향을 미친다.

담배 역시 1군 발암물질이다. 미세먼지 속에는 중금속 등 발암물질이 들어 있어 매우 위험하다. 오랫동안 미세먼지를 들이마시면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불편하더라도 마스크를 꼭 써야 한다.

담배 같이 하면서 '건강 타령'...'확실한발암물질인줄 아세요?

담배, 술은 미세먼지와 함께 1군 발암요인(carcinogenic to humans, group 1)이다. 에이즈를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자연산 민물고기회,

가공육(햄-소시지-베이컨 등)도 1군에 포함되어 있다. 민물고기를 날로 먹으면 간흡충(간디스토마)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간흡충 감염이 오래 지속되면 담도암(쓸개의 암)을 일으킬 수 있다. 담도암은 췌장암, 폐암 등과 같이 생존율이 낮다.

2022년에만 국내에서 5005명의 신규환자가 발생했다. 3만 2313명의 폐암 환자 중 상당수가 비흡연자이다. 미세먼지, 대기오염,

라돈, 요리연기 등도 조심해야 한다.

고기 타는 연기에 담배 연기까지...간접흡연도 '확실한발암물질

야외에서 고기를 구우면서 버젓이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있다. 옆에 아이가 있는데도 모른 척 한다. 최악의 상황이다.

육류나 생선류 등 동물성 식품이 타면 벤조피렌이 발생한다. 1군 발암물질이다. 탄 고기의 연기는 더 위험하다.

고온에서 기름을 많이 사용할수록 벤조피렌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급식종사자, 조리사 등은 물론 가정주부도 조심해야 한다.

남이 피우는 담배연기를 맡는 간접흡연도 1군 발암요인이다. 필터 없이 담배 끝에서 나오는 연기에 발암물질이 더 많다.

드물었던 대장암 "왜 이렇게 늘었나"...암 사망의 60% 이상 줄이는 법은?

20년 전만 해도 적었던 대장암이 국내 전체 암 발생 순위 1~2위이다. 갑상선암이 1위이니 사실상 1위 암이다. 매년 3만3천 명이 넘는 환자가 쏟아진다.

대장암이 많은 미국, 유럽처럼 가는 추세이다. 예전에는 고기를 수육 형태로 먹었다. 삶아서 먹으면 태울 걱정도 없고 지방도 빠질 수 있다.

그런데도 "고기는 구워야 제맛"을 강조한다. WHO에 따르면 담배를 끊고 음식을 조심하면 암으로 인한 사망의 60% 이상을 줄일 수 있다.

평소 식습관은 건강수명(건강하게 장수)을 좌우한다.

 

출처

'확실한' 발암물질 매일 먹는 사람들 “왜 이리 많아”...최악의 식습관은? (naver.com)

 

'확실한' 발암물질 매일 먹는 사람들 “왜 이리 많아”...최악의 식습관은?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이 가끔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설탕 대체 식품이다. 한때 발암물질 논란으로 떠들썩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23년

n.news.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