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회음후열전(淮陰后列傳)

果若人言. 狡兎死 良狗烹, 高鳥盡 良弓藏, 敵國破 謀臣亡. 天下已定 我固當烹.

 

초(楚)의 항우(項羽)를 무찌르고 천하를 통일 한 유방(劉邦)의 한(漢)나라에 가장 공로가 많은 한신(韓信)은 처음에 공로를

인정받아 초왕(楚王)의 자리에 봉해졌는데, 유방의 입장에서는 항우가 사라진 뒤에 한군(漢軍)의 총사령관이었던

한신의 힘이 두렵기만 합니다. 한신의 힘이 황제를 능가할 정도로 두렵게 느낀 유방은 결국 한신을 제거하려는

음모를 꾸미기 시작합니다. 그 때 마침 항우의 부하이면서 유방을 괴롭혔던 종리매(鐘離昧)라는 장수가 옛 친구였던

한신에게 의탁하고 있었는데, 이를 빌미로 유방은 한신에게 종리매를 체포해서 들어오라고 명령을 내립니다.


그후 초왕의 자리에서 회음의 제후로 강등을 시키자 고민을 하던 한신은 결국 부하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의심스러우면서도

자결한 종리매의 머리를 들고 유방에게 갔는데, 유방은 곧바로 한신을 포박하여 처형(處刑)을 시키게 됩니다.

바로 이때 한신은 자신의 심정을 이렇게 말합니다.

 

"과연 사람의 말과 같구나. 교활한 토끼가 죽으니 좋은 개는 삶겨지고, 높이 날던 새가 사라지니 좋은 활도 저장되고,

적국이 깨어지니 지략있는 신하도 죽는구나!  천하가 이미 정해졌으니 나도 진실로 삶겨짐이 당연하구나! "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사르  (0) 2020.12.20
포퓰리즘(populism)  (0) 2020.12.20
토사구팽(兎死狗烹)  (0) 2020.12.17
그래피티(graffiti)  (0) 2020.12.13
로고스(logos)와 파토스(pathos)  (0) 2020.12.11
728x90
반응형

토사구팽(兎死狗烹) - 兎:토끼 토. 死:죽을 사. 狗:개 구. 烹:삶을 팽.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 곧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본래 춘추시대(春秋時代) 월(越)나라의 재상 범려가 한 말로 전해지는 토사구팽(兎死狗烹)은

그 후 격언(格言)으로 전해오다가 한신이 형장(刑場)의 이슬로 사라질 때 남긴 이야기로 유명.


원문은 대구(對句)의 구절로 "狡兎死而走狗烹 飛鳥盡而良弓藏(교토사이주구팽 비조진이양궁장)"이다.

"교활한 토끼가 죽으니 달리던 개가 삶겨지고, 높이 나는 새가 사라지니 명궁이 (창고에) 저장된다."는

의미인데, 바로 한신이 자신의 심정을 그대로 말한 의미심장한 유언다.

 

교활한 토끼(항우)를 잡기 위해 충성스러운 명견(한신)은 주인 사냥꾼{(유방})의 뜻에 따라 힘들고 어려운 추격 끝에

결국 토끼를 잡았지만 토끼를 잡은 사냥꾼은 할 일이 없어지자 자신의 충견을 삶아 먹는다는 이용만을 당한 충신의 심정을 드러낸 말.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퓰리즘(populism)  (0) 2020.12.20
회음후열전(淮陰后列傳)  (0) 2020.12.17
그래피티(graffiti)  (0) 2020.12.13
로고스(logos)와 파토스(pathos)  (0) 2020.12.11
에토스(ethos)  (0) 2020.12.11
728x90
반응형

그래피티(graffiti)

 

길거리 여기저기 벽면에 낙서처럼 그리거나 페인트를 분무기로 내뿜어서 그리는 그림.

락카 스프레이 페인트 등등을 이용해 공공장소 또는 벽에 그림을 그리거나

글자 및 기타 흔적을 남기는 행위.

 

'그래피티(graffiti)'의 어원은 '긁다, 긁어서 새기다'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graffito'와 그리스어 'sgraffito'이다. 분무기(스프레이)로 그려진 낙서 같은 문자나 그림을 뜻하는 말로

 'spraycan art' 'aerosol art'라고도 한다. 유럽에서는 '거리의 예술(street art)'로서 자리를 잡았다.

 

기원은 고대 동굴의 벽화나 이집트의 유적에서 볼 수 있는 낙서에 가까운 그림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래피티가 예술로서 등장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부터이다.

사이 톰블리(Cy Twombly)·잭슨 폴록(Jackson Pollock) 등은 낙서의 표현법에 관심을 보였고

장 뒤뷔페(Jean Dubuffet)는 아웃사이더 아트로서의 낙서의 의미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래피티의 중요한 속성은 주인에게 허락받지 않고 무단으로 한다는 점이다.

일부 반론이 있지만 대다수는 무단으로 그린 것만을 그래피티로 정의하고 있으며,

실제로 그래피티라 불리는 것의 대부분이 무단으로 그려진 것이다.

그래피티(graffiti)라는 단어 자체가 이탈리아어로 그냥 낙서라는 뜻이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음후열전(淮陰后列傳)  (0) 2020.12.17
토사구팽(兎死狗烹)  (0) 2020.12.17
로고스(logos)와 파토스(pathos)  (0) 2020.12.11
에토스(ethos)  (0) 2020.12.11
필리버스터(filibuster)  (0) 2020.12.10
728x90
반응형

로고스(logos)와 파토스(pathos)

 

로고스는 이성적ㆍ과학적인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고능력ㆍ이성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이성적인 논리로 상대방을 설득하려면 설득하려는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파토스는 로고스와 대치되는 개념으로 감각적ㆍ신체적ㆍ예술적인 것을 가리키며 격정ㆍ정념ㆍ

충동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인간은 이성과 감정을 함께 가진 동물이기 때문에 논리만으로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없다는 데서 출발한다. 따라서 상대방의 감성에 호소할 줄 알아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파토스다. 인식의 방법으로서의 합리주의, 경험주의에도 대응한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사구팽(兎死狗烹)  (0) 2020.12.17
그래피티(graffiti)  (0) 2020.12.13
에토스(ethos)  (0) 2020.12.11
필리버스터(filibuster)  (0) 2020.12.10
금시작비 (今是昨非)  (0) 2020.1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