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람마다 느끼는 ‘고통의 크기’ 다르다

 

201101142139030368
두뇌 구조에 따라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느끼는 고통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자극을 받더라도 두뇌 구조에 따라 사람마다 느끼는 고통의 크기는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5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인터넷판은

미국 웨이크 포레스트 뱁티스트 의학 센터 (Wake Forest Baptist Medical Centre)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공상가적 기질이 있는 사람은 집중을

잘하는 사람에 비해 더 큰 고통을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사람들의 두뇌 구조에 따라 고통을 참아내는 능력이 서로 다르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이번 연구가 두뇌의 구조에 따라 고통에 대한 민감성이 달라지는 것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를 이끈 신경생물학자인

로버트 코그힐 교수는  "조사결과 사람마다 뇌의 일부를 차지하는 회백질의 양이 다른 것을 발견했다"며  "회백질은 개인의 고통에 대한 민감성과 연관돼 있다"고

설명했다. 두뇌는 회백질과 백질로 구성돼 있다. 회백질은 컴퓨터와 같이 정보를 처리하며  백질은 두뇌 각 부위의 의사소통을 조정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116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회백질의 양과 고통에 대한 민감성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실험 참여자들의 팔이나 다리의 작은 부위에

섭씨 약 49도의 열을 가한 뒤, 이때 느껴지는  고통의 정도를 응답하도록 요구했다. 이후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통해  참가자들의 두뇌 구조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에 참여한 니콜 에머슨 박사는 "고통이 더 크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회백질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며

"회백질은 내적인 생각과 주의 집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회백질이 많아 주의 집중을 잘하는 사람은 고통에 대해 덜 민감하다는 뜻이다.

반대로 회백질이 적고 공상가적 기질이 있는 사람은 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더 큰 고통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 저널인 고통(Pain)에 실렸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롯데카드 측 "개인정보유출 피해 발생 시 반드시 보상"

 

사상 최대 규모의 고객정보가 유출된 가운데 롯데카드가

개인정보유출 사건 피해자에게 보상하겠다며 공식 사과했다.

롯데카드는 18일 홈페이지에 '고객님께 사과드립니다'라는 제목으로 사과문을 게재했다.


 롯데카드 측은 "이번 개인정보유출 사고로 고객님께 심려를 끼쳐드려 대단히 죄송하다"며

 "FDS(카드 부정사용 방지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에서 개발을 맡았던 신용정보회사의

 개발 책임자가 고객님의 정보를 불법으로 수집해 보관하다가 검찰에 적발, 검거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개인정보유출에 비밀번호는 포함되지 않았다"며

 "원하시는 고객님께는 신속히 신용카드를 교체해드리며, 고객서비스센터로 연락하시거나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절차를 거치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고 알렸다.


 롯데카드 측은 끝으로 "저희 롯데카드 모든 임직원 일동은 고객님께 무릎꿇어 회초리를 맞는 심정으로

다시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건과 직접 관련해 고객님께 피해가 발생한다면 반드시 보상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롯데카드 외에도 이번 개인정보유출사건에 개입된 국민카드와 농협카드 측은

 개인정보유출 피해여부를 조회할 수 있는 인터넷 조회 서비스를 개설하고, 고객에 대한 사죄와

2차 피해방지를 위해 결제내역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전 고객에게 무료로 제공키로 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농협·롯데·국민 카드 개인정보유출..대처 방법은?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카드, 국민카드, 농협카드는 정보 유출에 따른

속죄의 차원에서 유료로 제공된 결제내역 알림 문자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어제(17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전달했습니다.

 

무료 제공 기간은 1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카드 문자서비스는 월 300원으로 카드 결제를 하면 실시간으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알려주게 되는데 카드 부정 사용을 막는데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2차 피해 방지와 관련해 실질적으로 고객에 도움이 되는

결제내역 문자서비스를 공짜로 제공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16일에는 1억여건의 고객 정보 유출의 원인을 제공한 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모든 피해 고객에 무료로 1년간 신용정보보호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는 등 금융사들의 반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검찰에서 넘겨받은 카드사 고객 정보 유출 자료와 카드사 자체 조사 자료를

취합해 17일 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에 피해 고객 자료를 모두 넘길 예정입니다.

이들 카드사는 내부 전산 작업을 거쳐 어제( 17일) 오후부터 자사 홈페이지에

피해 여부 확인란을 개설해 고객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SMS,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해서도 통보하기로 했습니다.
신용카드 재발급, 개인정보 마케팅 활용정지 요청 등을 통해 2차 피해를 최대한 차단하고,

직접적인 피해 발생시 손실 보상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국민카드 회원은 945만명, 롯데카드는 804만명,

농협카드는 682만명으로 단순 수치만 합산하면 2천431만명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이들 카드사에 중복된 회원을 빼면 1천600만~1천700만명이 가입자입니다.
현재 국내 카드 소지자가 2천만명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카드 소지자 정보가 유출된 셈입니다. 다만, 검찰이 초기에 유출자를 잡아

외부로 고객 정보가 빠져나가지 않았다고 밝혀 2차 피해 우려는 적은 편입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고객 정보 유출 재발 방지와 대책 마련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금융회사 고객정보보호 정상화 추진 계획'을 다음 달 중 마련하고, 3월부터 신용정보법·

전자금융거래법·개벌 금융업법 등 제도 개선에 나설 계획입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철새 V자 비행의 비밀 풀었다

 

영국 왕립수의대팀, 네이처에 발표.선두와 박자 맞춰 날갯짓 하며 앞쪽서 만든

상승기류 최대 이용 에너지 절약 이론, 실험 첫 입증

 

철새들이 V자 대형을 이루며 나는 것은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영국 연구진의 실험 결과 확인됐다. 사진은 한국의 철원 평야를 찾은 겨울철새들. [중앙포토]

이맘 때 전국 유명 철새 도래지에 가면 가창오리·큰기러기 같은 겨울 철새들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들은 이동할 때 수십 마리씩 V자(字) 대형(隊形)을 이룬다.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행동이란 게

그동안의 추정이었다. 예컨대 펠리컨은 혼자 날 때보다 V자 대형을 이뤄 날 때 심장 박동과 날갯짓 횟수가

11~14% 감소한다. 비행기도 마찬가지다. 편대 비행을 하면 연료 소모가 최대 18%까지 줄어든다.

하지만 새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공기역학적 원리를 이용해 V자 비행을 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영국 왕립수의대 스티븐 포르투갈 박사팀은 15일 붉은볼따오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그 비밀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또 새들이 V자 비행을 할 때 뒤따라가는 새가 앞서가는 새의 '박자'에 맞춰 날갯짓을

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저명한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서다.

새들의 V자 비행의 비밀을 이론이 아닌 실제 실험을 통해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붉은볼따오기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멸종위기종이다. 몸 길이는 70~80㎝,

날개 폭은 120㎝ 안팎이다. 아프리카·중동 등지에 산다. 특히 중동 시리아에 사는

새의 일부는 겨울에 홍해를 따라 아프리카 북부로 옮겨간다.

 

새는 날갯짓을 하며 상하로 요동치는 난기류를 만든다. V자 비행을 하면 앞선 새가 만드는

하강기류를 피해 상승기류를 탈 수 있다(왼쪽 그림). 앞 새의 '박자'에 맞춰 날갯짓을 하는 것도

이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반면 앞뒤 일렬로 줄을 지어 날아갈 때는 반대로 '엇박자'로

날갯짓을 한다(오른쪽 그림). 앞 새가 만드는 하강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자료 네이처]

 연구팀은 오스트리아 빈의 동물원에서 무리 비행 훈련을 받고 있는 어린 붉은볼따오기 14마리를

이용해 실험했다. 새들에게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관성측정장비를 채운 뒤 소형 비행기를 타고

함께 날며 비행 대형 속 위치, 속도, 날갯짓 횟수 등을 기록했다. 그 결과 새들이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V자 비행을 할 것이란 그동안의 추정이 옳았음을 확인했다.

 따오기들은 약 45분간 비행하는 동안 때론 V자를 만들고, 때론 앞뒤 일렬로 줄지어 서서 날았다.

 V자 대형을 이룰 땐 앞서가는 새와 평균 45도 각도, 0.49~1.49m 거리 간격을 뒀다.

날개 끝단의 위치는 서로 약 0.115m씩 겹쳤다.

새가 날 때 날개 양 끝단에는 위아래의 공기 흐름 차이로 인해 소용돌이(Tip vortex)가 생긴다. 

이 소용돌이는 뒤쪽으로 튜브 형태로 늘어지며 난류(亂流)를 형성한다. 이 기류는 아래쪽을 향하다

중간쯤부터 위쪽으로 흐름을 바꾼다. 선두를 뒤따르는 새가 이 위치에서 날갯짓을 하면 추가 양력

(揚力·유체 속을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 방향과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아 더 쉽게 날 수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붉은볼따오기들은 비행 내내 이 같은 '최적의 위치'를 찾아 끊임없이 움직였다.

또 앞서가는 새의 날갯짓 '박자'에 맞춰 날개를 움직였다. 앞선 새의 날갯짓에 따라 상하로

요동치는 난류 흐름을 타기 위해서다. 반면 앞뒤 일렬로 서서 비행을 할 땐 달랐다. 뒤따르는 새는

앞서가는 새와 '엇박자'로 날갯짓을 했다. 앞서가는 새가 만든 하강기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였다.

연구진은 이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해 "새들이 옆에서 비행하는 동료가 만드는 난류 패턴을

 정확히 알고 있고 또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