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도 여행 7일차 - 칸치푸람의 엑캄바레스와라(Ekambareswara) 힌두 사원

 

오늘은 쉬바의 부인 파르비타 모시는 엑캄바레스와라(Ekambareswara) 사원.

주 정부 박물관과 산토메 성당을 방문하고 야간 침대열차를 타고 마두라이로 가는 일정이다.

 

첸나이에서 72 km 떨어진 곳에 있는 칸치푸람(Kanchipuram)에 있는 팔라비왕조 시대의 아름다운 고푸람 양식의 힌두교 사원으로 갔다.

칸치푸람은 "천 개의 사원이 있는 황금도시"(The Golden City of 1,000 Temples)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힌두 사원이 많이 있는 도시이다.

 

칸치푸람

4세기 초에서 9세기 말에 걸쳐 타밀나두 주의 북부지방을 다스렸던 팔라바(Pallava) 왕조의 수도이다.

그 당시에는 불교도 융성하였던 모양으로 당나라의 현장법사가 칸치푸람을 방문하고 쓴 기록이 남아 있는데 그 기록에서 현장법사는 이 도시의 둘레가

10km에 달하고 시민들은 용감하지만 정의를 사랑하고 학문을 존중하는 사람들이라고 하였으며 석가모니 부처님도 칸치푸람을 방문한 적이 있다고 썼다.

 

에캄바레스와라 사원의 아름다운 고푸람을 보려면 신발을 벗고 맨발로 문을 통하여 사원으로 들어간다. 힌두교는 시계방향으로 돌아야 한다.

 

에캄바레스와라(Ekambareswara)사원.

칸치푸람 시내 중심에 있는 이 사원은 높이 59m의 고푸람(Gopuram:힌두 사원의 입구에 있는 탑)이 유명하다.

사원 건물의 대부분은 15세기 이후에 지어진 것이다. 59m나 되는 높은 탑을 기하학적 대칭을 이루는 가운데 정교한 조각들을 새겨 넣었다.

사원 입구에 있는 그림은 시바 신의 애인이던 파르바티(Parvati)가 망고 나무 아래에서 링감을 끌어 안고 있는 모습이다.

전설에 따르면 시바 신이 천지창조와 관련된 중요한 일을 하고 있을 때 시바 신의 귀여움을 받던 애인 파르바티(Parvati)가 장난으로

시바 신의 눈을 가렸다. 하고 있던 일에 차질을 빚게 된 시바 신이 노하여 파르바티로 하여금 땅으로 내려가 고행을 하라고 하였다.

자기 잘못을 뉘우친 그녀는 땅으로 내려와 한 그루의 망고 나무 밑에서 흙으로 링감을 빚으며 고행을 시작하였다.

화가 풀리지 않은 시바 신은 여러가지로 그녀의 고행을 방해하면서 그녀의 진심을 떠 보려고 하였다. 강물이 범람하여 파르바티가 만든 링감을

쓸어 가려고 할 때에 그녀가 결사적으로 링감을 끌어 안고 있는 모습을 보고 시바 신의 노여움이 풀려 그녀와 결혼하였다고 한다.

 

▼에캄바레스와라 사원에 얽힌 전설을 표현하고 있는 그림.

파르바티가 고행을 하던 망고나무가 지금 이 사원의 뒤편에 서 있는데 그 나무의 나이는 3000년이 넘는다고 하며 그 나무에서 번식한

네 그루의 망고나무가 사방에 있으며 이 나무는 1년에 네번 서로 다른 계절에 서로 다른 맛을 가진 망고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이 나무들은 성스러운 영물로 여겨져 철조망으로 엄중히 보호되어 사람의 접근을 막고 있다.

전에는 쌀이나 곡물로 천연 물감을 들여 그림을 그렸는데 지금은 페인트 칠이란다. 밟고 다니면 행운이 온다고 한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남인도 마말라푸람의 마하발리푸람(Mahaballi Puram)

 

마하발리푸람( Mahaballi Puram)은 마하발리 푸람(Mahabalipuram)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비쉬누(Vishnu)”라는 신이

“마하발리”라는 거인을 무찌른 전설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마말라푸람은 첸나이에서 남쪽60km거리에 위치하며 돌에 새겨진 타밀로 유명하다.

단어 `푸람`의 뜻은 마을.촌락이며 `마말라`는 7세기에 남인도를 통치한 왕 나라시라바르만1세의 통칭인 `뛰어난 씨름꾼`이란 뜻이다.

마하발리푸람은 8세기 Thirumanga Alvars에 의해서 쓰여진 Tamil 문헌에 바다산의 왕궁(Palace of Sea Mountain)으로 묘사되어있고,

13세기 동방견문록을 쓴 마르코 폴로에 의해서 유럽의 뱃사람들에게는 7개의 탑(7 Pagodas)으로 불려지기 시작했다.

(지금은 그 중에 하나만 Sea Shore Temple로 남아있다.) 

마하발리푸람은 지금 2개의 이름으로 불려지는데 마말라푸람(Mamalla puram:위대한 레슬러의 도시)과  마하발리푸람(Mahaballi puram: 위대한 발리의 도시)이다.

마말라 푸람은 팔라바브 왕조의 왕이였던 Narasimvahavarman 가 그 당시 팔라브왕조에서 유행했던 씨름의 유명한 왼손잡이 선수여서 이곳의 이름을

위대한 레슬러 도시(마말라 푸람)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하고, 마하발리 푸람(위대한 발리의 도시)은 7개의 Sea Shore Temple을 세운 Balli 왕의

이름을 따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마하발리푸람의 건축물과 조각들은 팔라브 왕조의 왕 Mahendravarman (580-630 A.D)과

그의 아들 Narasimhavrman I(630-668 A.D)과 그의 후손들에 의해서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7개의 Sea Shore Temple5 Rathas 바위를 깍아 만든 Sea Shore Temple바닷가 모래위에 세워진 Temple이다.

이곳에는 시바와 비쉬누의 템플이 있고, 시바의 아내인 파라바띠의 템플과 풍요와 다신을 상징하는 링가가 모셔진 템플이 있다. 해변에 새워진 이 템플은

원래 7개의 템플이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현재는 한곳만 남아있고, 나머지 6개의 템플은 바닷가 속에 잠겨있다.  지난 1996년 쓰나미가 이곳 해안에

덮쳤을 때 3개 정도의 템플이 보였다고 하고, 지금도 배를 타고 조금만 바다로 나가면 물속의 잠긴 템플(탑)의 윗부분을 볼 수 있다고 한다.

▼인도에는 신이 너무 많아 설명을 들어도 금방 잊곤 한다.

 ▼대부분 맨발이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네쉬 라타 언덕의 크리슈나의 버터 볼

 

가네쉬 라타 근처의 언덕에는 크리슈나의 버터 볼이라고 알려진 거대한 옥석이 있는데 우리 설악산의 흔들바위와 닮았다.

 ‘크리슈나의 버터볼’ 제거하려는 노력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 1498년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 발견 이후 1640년 첸나이(영국령 ‘마드라스’)에

동인도회사를 설립, 영국 지배하에 놓였을 때 마드라스 주지사가 바위를 끌어내리려고 했다. 이 바위가 인도인들에게 신성시됐기 때문이다.

이때 주지사는 코끼리 일곱 마리를 동원했지만 실패했다고 알려져 있다.

바위를 제거하려는 노력이 모두 실패로 돌아가자 ‘크리슈나의 버터볼’을 신격화하는
분위기는 더욱 높아졌다.

일부 인도인들은 신이 이 바위를 놓았다고 믿을 정도다. 지질학자 등 전문가들은 자연형성으로 보고 있다.

바위는 현재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마하발리푸람 기념물군’,
교황청이 공인한 카톨릭 성지인 ‘첸나이 성 도마 성당’과 함께

첸나이의 주요 관광 상품이 됐다. 팔라바(Pallava)왕들은 코끼리로 옥석을 움직이려 했지만 실패했다고 한다.

 

 *팔라바왕조(Pallava dynasty) - 3세기 후반에서 9세기 말까지 칸지에 도읍하여 남인도의 동쪽 해안지방을 지배한 왕조.

시조는 안드라왕조에 종신(從臣)을 하다가 자립하였다. 6세기 말 신하비슈누코베리강 유역까지 영역을 넓혀 판디아 왕조와

실론의 지배자와 겨루었고 다음 왕 마헨드라발만 때는 남인도의 패권(覇權)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의 나라신하발만(재위 625∼645)의 치세에

이르러 최성기를 맞이하여  찰루키아왕조의 수도를  공략해서 데칸으로 영역을 넓혔고, 팔라바 예술을 대표하는 특색 있는 7탑을 세웠다.

그러나 7세기 말부터 쇠퇴의 길을 걸어 9세기 말 촐라왕조에게 멸망되었다.

가네쉬 라타 언덕에 양들이 많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네쉬 라타 언덕의 리슈나 만다빰 석굴사원의 다양한 조각품

 

크리슈나 만다빰(Krishna Mandapam)은 아르주나 페난스 왼쪽 옆에 있는 신전이다. 6~7세기에 만들어진 사원으로

아르주나에게 가르침을 주었다는 크리슈나가 고바르다나(Govardhana) 산을 들어올려  인드라신의 분노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려는 조각. 소 젖을 짜는 모습 등 다양하다.

▼ 산을 들어 올리는 크리슈나

목동으로 변한 크리슈나가 소 젖을 짜는 모습.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