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국 지린성 지안현 여산 남쪽 기슭에 있는 고구려의 기단식 돌무지무덤.

비가 서 있는 곳으로부터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있는 태왕릉(太王陵)을 광개토왕의 능으로 인정하는 견해가 유력하다. 왜냐하면 부근에서 ‘태왕릉이 산악과 같이 안정되고 굳건하기를 원한다(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라는 명문이 새겨진 벽돌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분구의 대부분이 무너져내린 기단부와 그 위층의 방단부 일부만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1990년 이래 중국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굴되어 복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결과는 외부에 알려지지 않고 있다. 무덤 기단의 한 변은 약 63m이며, 너비 약 1.75m, 높이 6m가량의  대형 석재 5개가 받치고 있다. 기단 위의 각 방단 내부는 막돌과 장돌로 채워졌다. 분구 정상부 가까이에 설치된 매장부는 굴식 돌방의형태를 취하고 있다.돌방의 방향은 서향이며 널길은 널방 서벽 한가운데에서 시작된다. 널방의 천장부는 3단의 평행굄으로 짜여졌으며, 천장은 지름 4.55m, 두께 0.8m의 대형 화강암 판석으로 덮여 있다. 널방의 동서길이는 2.82m, 남북너비는 3.16m이며 지면에서 분구 정상부까지의 높이는 16m 정도이다. 분구 정상부에서 명문전과 와당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원래의 분구 위에 작은 사당이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명문전 중에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원태왕릉안여산고여악)'이라는 돋을 새김된 문장이 있어 '태왕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무덤 주위에는 자갈이 깔리고 그 바깥으로는 무덤구역을 알리는 흙담이 둘러져 있다. 무덤의 남방 180m 지점에서 기와·전돌과 함께 건물의 초석이 발견되어 무덤의 피장자를 위해 제사지내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무덤의 동북 500m 거리에는 유명한 광개토왕릉비가 있다.  명문전의 내용, 무덤의 규모, 근처의 건물터, 광개토왕릉비 등을 근거로 광개토왕의 능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무너진 기단 위로 누군가 돌을 얹어 놓은 것이 보인다.

 ▼무덤의 주인공은 원하든 안하든 후세에 자기 무덤이 만천하에 공개될 것을 알았을가? (자세히 보니 석관이 보인다.) 백골은 진토 되었는데, 넋이라도 있을런지...

▼ 무덤에서 보이는 국내성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 제19대 광개토대왕의 능비(陵碑).
정식명칭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라는 광개토왕의 시호(諡號)를 줄여서 중국에선 '호태왕비'라고도 부른다.

너비 1.35m∼2.0m, 높이 6.39m에 달하는 한국 최대의 크기로 개석이 없는 고구려 석비 특유의 형태다. 비신의 사면에는 한예의 팔분서에가까운 고구려 특유의 웅혼한 필체로 14∼15cm 정도 크기의 문자가 음각되어 있으며, 현재에는 5mm 깊이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비신의 4면에는 모두 44행 1,775자의 문자가 새겨져 있다. 사면이 유리로 되어 있으나 안에는 들어가 볼 수 있었다,

1145년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는 현존의 우리 역사서 중, 가장 오래되었으나 호태왕 비문은 이보다 720년 전에 세워졌다.

 

비문의 정식 이름은 ‘광개토경평안호태황비문(廣開土境平安好太皇碑文)’이다.

비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내용을 나눌 수 있다. 첫째 부분은 고구려 개국으로부터 호태왕이 죽기 전까지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부분은 북으로는 송화강, 서로는 섬서성, 동은 연해주, 남쪽은 일본 열도에 이르는 광개토대왕의 큰 업적을 기록하여 당시 각 나라의 위상과 영역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셋째 부분은 호태왕의 유훈으로 묘지기와 입비 등 제도의 해답을 적시하여 고구려가 점령한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녀산성 - 중국 랴오닝성[遼寧城(요녕성)] 환런[桓仁(환인)] 북동쪽에 있는 고구려 옛 성.

심양 공항에 내려서 버스를  타고 찾아간 작은 마을은 이름조차 단군신화를 연상시키는 환인작은 마을이다.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문에서<추모왕(鄒牟王;朱蒙)이 비류곡(沸流谷) 홀본(忽本)의 서쪽 산 위에 성을 쌓고 도읍으로 삼았다>고 했는데,

여기서 <서쪽 산 위의 성>이 오녀산성으로 추정된다.

 

해발고도 820m인 천연요새지로 성의 동쪽에서약 1.8m의 성벽이 발견되었고, 800m가 넘는 산꼭대기에 1,000m나 되는 평지가 있고,

숲이 있으며, 또한 샘물이 있는 천연 요새를 찾아 도읍한 동명성왕예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오녀산성은 압도하는 암벽과 범하기 어려운 

기상이 배여 있다. 고구려 초기 산성으로 해발 820m의 오녀산 꼭대기에 동.남.북쪽 삼면을  돌로 쌓았는데 약 300m이다. 남쪽은 절벽이며,

길이가 약 1,000m이다.서쪽 편에는 성벽 없이 산봉우리를 이용하여 장벽을 만들고 있다. 성 안에는 샘물과 "점장대"가 있다.  

환인현의 동북쪽 혼강 북안에 자리잡은 오녀산성은 서쪽과 남쪽은 천연의 절벽이고 산의 정상은 동서로 긴 장방형으로 평탄하며  동쪽과

동북쪽의 경사면 산허리에 돌로 축성이 되어 있다. 성의 둘레는 약 2,600m에 달하며 축성의 형태로  보아 가장 이른 시기에 축조된 성이다.

주몽이 도읍한 졸본성은 2대인 유리왕이 국내성으로 옮기기까지 고구려의 첫 도읍지였다.

▼ 가파른 계단을 걸어 올라가야 성에 갈 수 있다.

▼ 오녀산성에서 바라 본 환인의 전경. 에돌아 흐르는 혼강 모습이 용의 용틀임을 닮았다.

▼ 점장대

▼장군봉

유적지 - 우리의 선조들이 살았던 우물과 집터...등 흔적이 남아 있다.

▼정상에는 약 0.9m 깊이의 연못과 우물이 있다.

산기슭의 고력묘자촌(高力墓子村;高力은 고구려를 지칭)에는 수백기에 이르는 고구려 돌무지무덤[積石塚(적석총)]이 있었으나 

1970년대 초 중국측의 댐 건설로 인하여 수몰되었다.산 아래를 흐르는 물이 바로 비류수(엄리대수, 엄체수)다. 

북부여에서 탈출하던 주몽이 강을 건널없자 하늘에 대고

 "나는 천제의 손자이고 하백의 외손자인데 나를 여기서 죽게 하느냐"고 소리치자 어별들이 달려와 다리를 만들었다는 곳이다.

저 아래 강 속에 우리의 많은 선조들이 잠들어 있으리라.

해발고도 820m인 천연요새지로 성의 동쪽에서약 1.8m의 성벽이 발견되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07년 8월2일 - 장군총-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석릉
 
3세기 초부터 427년까지 고구려가 도읍한 지안현 퉁거우평야에는 광개토왕릉비와 고구려 최대형 무덤인 태왕릉·사신총 등
석릉과 토분 1만 기가 있으나 외형이 거의 완존한 석릉은 이것뿐이다. 화강암 표면을 정성들여 가공한 절석(切石)을 7단의 스텝 피라미드형으로 쌓았는데, 기단의 한 변 길이 33m, 높이 약 13m 이다. 기단의 둘레에는 너비 4m로 돌을 깔았으며,  그 바깥둘레에 너비 30m 의 역석을 깔아 능역을 표시하였다. 널방은 화강암의 절석을 쌓아 지었는데, 천장석이 있는 굴식이며, 2개의 널받침이 있다. 1905년 일본인 학자 도리이가 처음으로 현지조사하고, 프랑스 학자 E.샤반과 일본인 세키노 다다시 등이 조사하여 《남만주조사보고》 등에 발표한 뒤부터 학계에 알려졌다.

돌무지돌방무덤은 대체로 3세기 말∼4세기 초로부터 5세기에 나타나며, 기와를 통해서는 4세기 중엽 이후 5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므로
이 장군총의 연대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일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이 무덤의 주인공으로는 광개토대왕과 그 아들인장수왕의 것이라는 두 설이 있는데, 현지 중국 학자들은 태왕릉을 광개토대왕릉으로, 장군총을 장수왕릉으로 보고 있다.

▼ 장군총(장수왕릉) 고분 위로 무심한 구름만 흐르고….

▼고스란히 남은 세월의 흔적은 멀리서 온 우리에게 덧없음을 알려 준다.

▼ 우산나무라고 불리는 나무 사이로 난 길을 따라 가면  장군총(장수왕릉)의 부속이라고 추정되는 능.  후궁의 무덤이라 추측 되어 진다고….


▼ 보기에도 위태위태하다. 더 이상 허물어지지 않았으면….

▼ 멀리 옆으로 장군총이 보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