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선시대 옷으로 나타낸 신분

 

조선시대에는 한복 색깔로 자신의 처지를 나타냈습니다.

결혼하지 않은 아가씨는 다홍치마, 노랑 저고리, 갓 결혼한 새색시는 다홍치마, 연두저고리, 결혼한 부인은 남치마, 옥색 저고리를 입었지요.

그런가 하면 저고리 소매가 남색이면 아들이 있다는 표시였고, 자주색 고름을 달면 부부가 금실 좋게 해로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가 하면 왕가나 명문 세도가는 금박 무늬를 새길 수 있었는데 오늘날 정신없는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럭셔리(luxury)일까요?

그러나 임진왜란 뒤 신흥 양반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일반인들도 금박 무늬를 옷에 새길 수 있게 됐습니다.

사규삼은 정승의 후손이 입었던 것인데 왕실에서 바느질을 하던 침선장이 지은 것입니다.

그 증거로 왕실의 금박장은 “부귀다남(富貴多男)”이란 글자를 찍을 때  富 자의 위 꼭지를 찍지 않았다고 합니다.

반응형

'Today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갈굴정(臨渴掘井)  (0) 2024.07.13
피포위 의식(siege mentality)  (0) 2024.06.11
펭귄효과(Penguin Effect)’  (0) 2024.05.21
불이문(不二門)  (0) 2024.05.15
가스라이팅(gaslighting)  (0) 2024.05.10
728x90
반응형

"증시 대폭락 온다" 무서운 경고…'힌덴부르크 징조' 뭐길래

글로벌 금융위기 예측한 기술적 지표.  "정확도 30% 미만" 정확성 논란도 커
 

 
/사진=게티이미지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시장 붕괴의 전조로 해석되는 ‘힌덴부르크 징조(Hindenburg Omen)’가
나타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고 미국 경제방송 CNBC가 2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힌덴부르크 징조는 1995년 수학자 짐 미에카가
각종 기술적 지표들을 분석해 증시 대폭락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고안해낸 것이다. 이름은 1937년 뉴저지주 레이크허스트 비행장에서
추락한 독일의 초호화 비행선 힌덴부르크호에서 따왔다. 그는 “5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면 시장이 붕괴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5가지 기준은
△뉴욕증시에서 하루에 52주 최고가와 최저가를 찍은 종목 수가 당일 거래 종목의 2.2% 이상
△52주 고가와 저가 종목 중 종목 수가 적은 쪽이 69종목 이상
△다우지수의 10주 이동평균선 상승
△시장변동성을 측정하는 기술적 지표인 ‘맥켈란 오실레이터’가 마이너스
△52주 최고가 종목 수가 52주 최저가 종목 수의 2배 미만이다.

이 기술적 분석 방식은 과거 1987년 블랙 먼데이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해 시장 참여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 지표의 신뢰성에 대한 논란도 크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힌덴부르크 징조가 실제 시장 하락을 정확하게
예측한 경우는 30% 미만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현재 시장상황이 과거와 다르다는 점도 감안해야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뉴욕증시의 성장주들이 밸류에이션상 부담스러운 구간에 접어든 것은 사실”이라며
“음식료주 등 조정 때 버티는 힘이 강한 업종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고려해볼만하다”고 말했다.

 

출처

증시 대폭락 온다 무서운 경고…힌덴부르크 징조 뭐길래 | 한국경제 (hankyung.com)

 

"증시 대폭락 온다" 무서운 경고…'힌덴부르크 징조' 뭐길래

"증시 대폭락 온다" 무서운 경고…'힌덴부르크 징조' 뭐길래, 글로벌 금융위기 예측한 기술적 지표 "정확도 30% 미만" 정확성 논란도 커

www.hankyung.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28년째 동일 기준, 이대론 안 된다" 여야 모두서 상속세 개편론

 

일러스트=박상훈

 

정치권에서 ‘상속세 완화론’이 다시 나오는 것은 1950년 도입한 상속세가 경제 발전과 물가 상승 같은 변화를 전혀 반영하지 못해

기업 경영과 국민 실생활에 걸림돌이 되는 현실 때문이다. 국민의힘 핵심 인사들은 “상속세 부담으로 고통받는 기업들과 개인들이 늘고 있다”며

“현행 상속법 제도를 그대로 둘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총선 과정에서 지방의 ‘기회발전특구’로 본사를 옮기는 중소기업은 상속세를

면제해 주자는 공약을 제시했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최고 600억원까지 적용하는 가업 상속 공제가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정부는 현재 가업 상속 공제 확대, 최대 주주 주식의 20% 할증 평가 폐지 등 세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다. 여당은 이 법안이 국회로 넘어오면

본격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상속세를 점진적으로 선진국 수준으로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은 여당은 물론 야당 의원들 사이에도 공감대가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황희(서울 양천갑) 의원은 본지에 “대기업도 대기업이지만 중소기업을 위해 상속세 개편이 필요하다”며

“우리 당도 기업인들과 이 문제에 대해 얘기를 해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중소기업들은 상속세 부담 때문에 회사를 쪼개 버리거나 폐업해

버리는 경우가 있는 걸로 안다”면서 “우리 세수(稅收)의 1% 정도인 상속세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살펴볼 때가 되지 않았나”라고 했다.

하지만 이런 의견은 민주당 내에서 소수다. 민주당은 공식적으로는 상속세 완화에 반대하고 있다. 민주당 임광현 원내부대표는 정부의

가업 상속 공제 확대 방침에 대해 29일 논평을 내고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켜 우리 사회를 계급사회로 전락시킬 수 있다”고 했다.

정치권에서는 “여야가 상속세 완화를 놓고 의견차를 좁히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겠지만 22대 국회에서 논의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현행 상속법 세제의 문제는 여러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게 1997년부터 28년째 그대로인 상속세 공제 한도 10억원이다.

이 기간에 물가는 96% 올라 거의 2배가 됐고, 1인당 국민총소득은 3.8배로 뛰어올랐는데 상속세 기준은 바뀌지 않은 것이다.

 

1997년에는 서울 강남 압구정동 60평대 아파트를 물려받아야 상속세 대상이었지만, 지금은 서울 비(非)강남 지역의 웬만한 20·30평대 아파트를

물려받아도 내야 하는 상황이다. 더 이상 부자들만 내는 세금이 아니라는 뜻이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서울의

아파트 평균 가격은 11억9773만원으로 통계를 처음 낸 2009년 5월(5억2104만원)의 2.3배로 뛰었다. 반면 미국은 물가 상승세 등을 감안해

상속세 공제 한도를 꾸준히 늘려왔다. 지난해 미국의 상속세 공제 한도는 1290만달러(약 176억원)로, 우리나라의 17배가 넘는다.

그래픽=박상훈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인 상속세 세율도 고쳐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우리나라 상속세율은 10~50%로 상속세 제도를 유지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국 가운데 일본(10~55%)에 이어 둘째로 높다. 다른 OECD 회원국들도 처음엔 강력한 상속세를 물렸지만,

물가가 올라 집 한 채만 갖고 있는 납세자들까지 상속세 대상이 되는 것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자본의 외국 유출 우려까지 나오자

상속세를 완화하거나 폐지하고 있다. 1971년 캐나다부터 2014년 노르웨이까지 OECD 38회원국 가운데 10국이 상속세를 없앴다.

 

기업인들이 가업 상속을 주저하게 만드는 ‘최대 주주 할증’ 제도도 논란거리다. 상속세 최고 세율이 50%인데, ‘경영권 프리미엄’만큼

더 많은 재산을 상속받는다고 보고 세율을 10%포인트 높여 60%를 물리는 것이다. 제약 업체인 한미그룹 창업주인 고(故) 임성기 회장의 유족들이

올해 주주총회에서 경영권 분쟁을 벌인 것도 수천억원에 달하는 상속세에서 비롯됐다. 임 회장의 아내인 송영숙 회장 모녀 측이 상속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CI 그룹과 통합을 추진하자 장·차남이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장남인 임종윤 사장은 “한미그룹은 팔지도 않을

상속 주식에 부과된 세금 때문에 의미 없이 가업이 망가진 경우”라고 했다.

 

출처

“28년째 동일 기준, 이대론 안 된다” 여야 모두서 상속세 개편론 (chosun.com)

 

“28년째 동일 기준, 이대론 안 된다” 여야 모두서 상속세 개편론

28년째 동일 기준, 이대론 안 된다 여야 모두서 상속세 개편론

www.chosun.com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해병대원 특검법' 부결…찬 179, 반 111, 무효 4로 법안 폐기

 

해병대원 순직 사건 특검법이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뤄진 재표결에서 부결돼 폐기됐다. 해병대원 특검은 이날 무기명으로 이뤄진 투표에서

재석 294명 중 찬성 179표, 반대 111표, 무효 4표로 부결됐다. 해병대원 특검은 지난 2일 국민의힘 반대 속에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단독으로 처리했고,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1일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대통령이 재의를 요구한 법안을 국회가

재의결하려면 재적 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가결되지 않으면 법안은 폐기된다.

그래픽=조선디자인랩 한유진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14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직원이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재의의 건 표결 결과를 적고 있다. /뉴시스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21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채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재의의 건)이 부결된 뒤 해병대 전우회 회원들이 본회의장에 남아 있다./뉴스1
 

현재 21대 의원은 296명으로, 이날 본회의에는 무소속 윤관석·이수진(서울 동작을) 의원을 제외한 294명(야권 179·여권 115명)이 참석했다.

법안 통과를 위해선 196명 찬성이 필요했다. 여당에선 김웅·안철수·유의동·최재형·김근태 의원 등 5명이 찬성 표결을 예고했다.

만약 이들이 실제로 찬성 혹은 기권표를 던졌다면, 야당에서도 이탈표가 일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오는 30일 개원하는 22대 국회에서 해병대원 특검을 다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출처

‘해병대원 특검법’ 부결…찬 179, 반 111, 무효 4로 법안 폐기 (chosun.com)

 

[속보] ‘해병대원 특검법’ 부결…찬 179, 반 111, 무효 4로 법안 폐기

속보 해병대원 특검법 부결찬 179, 반 111, 무효 4로 법안 폐기

www.chosun.com

 

반응형

+ Recent posts